GS건설 자이,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손잡고 AI 기반 상담 서비스 '자이챗봇' 도입

김진수 2021. 8. 2. 15: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GS건설이 건설업계 처음으로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서비스인 '자이챗봇'을 선보이며 GS그룹의 경영방침인 '디지털 역량 강화와 친환경 경영을 통한 신사업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AI 전문기업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함께 건설업계 최초의 AI 챗봇 상담 서비스인 자이챗봇을 운영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챗봇 서비스 '카카오 i 커넥트 톡' 기술 활용
AI 기반의 상담 서비스로 아파트 분양 전 과정을 카카오톡으로 이용
GS그룹의 올해 경영 방침인 '디지털 역량 강화'의 성과로 주목

GS건설이 건설업계 처음으로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서비스인 ‘자이챗봇’을 선보이며 GS그룹의 경영방침인 ‘디지털 역량 강화와 친환경 경영을 통한 신사업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AI 전문기업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함께 건설업계 최초의 AI 챗봇 상담 서비스인 자이챗봇을 운영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자이챗봇은 자이 아파트 분양 주요 과정을 카카오톡으로 제공하는 AI 기반의 상담 서비스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AI 챗봇 서비스 ‘카카오 i 커넥트 톡’을 도입해 자이 아파트 분양 관련 챗봇 상담 서비스를 하는 방식이다. 카카오톡을 통해 쉽게 접속이 가능하다. 자이챗봇은 지난 6월부터 본격 서비스에 나서 고객 상담에 활용되고 있다.

‘카카오 i 커넥트 톡’은 카카오톡 채널, 챗봇 등을 결합한 AI 기반 비즈니스 플랫폼을 활용한 것이다. 카카오톡을 통해 GS건설 자이 관심 고객이라면 누구나 보다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24시간 언제 어디서나 자이챗봇을 통해 물어볼 수 있다.

특히, 단답형에 머물렀던 건설업계의 기존 챗봇들과 달리 마치 상담원과 대화를 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해진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챗봇이 단답형으로 묻고 대답했다면 자이챗봇은 고객이 문장으로 물어보더라도 문맥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답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존 챗봇처럼 ‘분양 안내’, ‘입주 안내’ 등 단답형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요즘 분양 중인 아파트 좀 알려줄래?”, “다음 달 분양할 아파트는 뭐야?” 등과 같은 자연스러운 문장도 응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단지명, 특별공급 종류 등 다양한 기준으로 단지를 검색할 수 있다. 내 예약 신청 및 조회, 내 단지 조회, 납부 내역 등 개인 맞춤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서비스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고성능 자연어 처리 모델인 AML 기술을 적용해 가능했다. 문자 대화 특성상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오탈자도 맥락을 이해해 질문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응답하며 홈페이지나 앱에 흩어져 있던 정보들도 GS건설의 기존 시스템과 연동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제공한다. 또 챗봇 이용 도중 상담사로 연결할 경우 이전 대화 내용이 해당 상담사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보다 빠르고 정확한 상담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

GS건설은 업계 최초 AI 챗봇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 상담업무를 자동화하여 편의성과 활용성을 높이고, 한 차원 높은 비대면 채널을 구축해 앞선 언택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게 됐다. 이번 서비스는 ‘디지털 역량 강화와 친환경 경영을 통한 신사업 발굴’이라는 GS그룹의 올해 경영방침에 부합하는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정명기 GS건설 마케팅 담당은 “국내 정상의 AI 기술을 보유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협업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해 고객서비스를 한 차원 높이게 됐다”며 “향후 CS 분야의 적용 검토 등 다양한 고객과의 소통 채널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