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리얼티, 64㎿ 규모 두번째 데이터 센터 착공

김아름 2021. 8. 2. 1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클라우드 및 통신망 중립적인 데이터센터, 코로케이션, 인터커넥션 부문의 선도기업 디지털 리얼티는 대한민국 경기도 김포시에 토지를 매입, 최대 64㎿의 IT 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두 번째 데이터센터를 착공한다고 2일 발표했다.

이러한 망중립 데이터센터 캠퍼스는 업계 최대의 개방형 패브릭 오브 패브릭 구축을 위한 핵심 빌딩 블록을 형성해 데이터센터 플랫폼인 '플랫폼디지털'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연결된 데이터 커뮤니티를 접속할 수 있게 되며, 그 연결 규모는 24개국 47개 도시에 걸쳐 4000여 관련 기업 이상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클라우드 및 통신망 중립적인 데이터센터, 코로케이션, 인터커넥션 부문의 선도기업 디지털 리얼티는 대한민국 경기도 김포시에 토지를 매입, 최대 64㎿의 IT 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두 번째 데이터센터를 착공한다고 2일 발표했다. Digital Seoul 2(ICN11) 데이터센터 부지는 서울 북서부에 위치한 김포시 구래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얼티가 지난해 6월 상암DMC에 착공해 현재 공사 중으로 오는 4·4분기에 완공 예정인 한국 내 첫 데이터센터 시설인 Digital Seoul 1(ICN10)에서 약 23km 떨어져 있다.

지상7층 지하3층의 다층 구조로 건설 계획인 디지털리얼티의 Digital Seoul 2(ICN11)는 97만 평방피트 규모로서, 2023년 상반기에 완전 가동돼 국내 및 글로벌 기업들이 자신들의 디지털 사업역량을 대한민국 전반으로 확장할 수 있는 보다 큰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망중립 데이터센터 캠퍼스는 업계 최대의 개방형 패브릭 오브 패브릭 구축을 위한 핵심 빌딩 블록을 형성해 데이터센터 플랫폼인 '플랫폼디지털'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연결된 데이터 커뮤니티를 접속할 수 있게 되며, 그 연결 규모는 24개국 47개 도시에 걸쳐 4000여 관련 기업 이상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리얼티의 윌리엄 스타인 CEO는 "대한민국은 세계 최대의 경제대국 중 하나로서,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고객과 서비스 제공업체를 위해 커버리지, 용량 및 연결성 옵션을 확장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말하며, "자사는 대한민국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통신망 중립적 솔루션의 구현을 지원함으로써 한국 내에서 국내 및 글로벌 고객이 디지털 전환 전략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