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도쿄] 강이슬의 아쉬운 화력? 강이슬의 보이지 않는 존재감!

손동환 2021. 8. 2.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슈터의 존재감은 분명 컸다.

대한민국 여자농구 국가대표팀(이하 한국)은 8월 1일 도쿄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열린 2020 도쿄 올림픽 여자농구 A조 예선에서 세르비아에 61-65로 졌다.

세르비아의 견제가 강했음에도 불구하고, 강이슬은 슈팅을 주저하지 않았다.

물론, 강이슬의 세르비아전 화력은 아쉬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슈터의 존재감은 분명 컸다.

대한민국 여자농구 국가대표팀(이하 한국)은 8월 1일 도쿄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열린 2020 도쿄 올림픽 여자농구 A조 예선에서 세르비아에 61-65로 졌다. 3전 3패로 13년 만의 올림픽을 마쳤다.

김단비(180cm, F)가 전반전 분위기를 잡아줬다. 전반전에 돌파와 3점을 터뜨린 김단비는 이날 15점 6리바운드(공격 3) 3어시스트에 1개의 스틸을 기록했다. 3점슛 역시 3개의 성공에 42.7%의 성공률을 기록했다.

가장 큰 소득은 박지현(183cm, G)이다. 박지현이 자신감과 가능성을 보여줬다. 박지현은 이날 17점 7리바운드(공격 3) 5어시스트에 1개의 스틸로 양 팀 선수 중 최다 득점과 양 팀 선수 중 최다 어시스트를 동시에 달성했다.

팀의 기둥인 박지수(196cm, C)도 제 몫을 했다. 박지수는 이날 37분 39초 동안 8점 11리바운드(공격 4) 5어시스트에 2개의 블록슛을 기록했다. 양 팀 선수 중 최다 출전 시간, 최다 리바운드와 최다 공격 리바운드, 최다 블록슛 모두 박지수의 몫이었다.

3명의 선수가 자기 몫을 했고, 한국은 조직적인 수비로 세르비아의 2점슛 성공률을 47%(23/49)로 낮췄다. 특히, 세르비아의 3점슛 성공률을 20% 미만(2/13)으로 묶었다. 그게 한국이 선전할 수 있었던 요인.

반대로, 한국은 34개의 3점 중 9개를 성공했다. 전반전 3점슛 성공률은 20% 미만(4/21)이었지만, 후반전 3점슛 성공률은 약 38%(5/13). 달라진 3점슛 성공률 또한 세르비아를 괴롭힌 요소였다.

그러나 아쉬움은 있었다. 팀의 주득점원이자 메인 슈터인 강이슬(180cm, F)의 3점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강이슬은 이날 10개의 3점을 던졌지만 한 개도 넣지 못했다. 2점슛 성공률 역시 33.3%(1/3). 강이슬의 슈팅은 극도로 부진했다.

하지만 이유가 있다. 먼저 본인을 향한 견제가 심했다. 스페인전과 캐나다전에서 평균 18.5점을 퍼부었기 때문이다. 특히, 스페인전에서는 3점 2개를 포함해 23점을 넣었다. 3점만 고집하는 게 아니었기에, 세르비아는 강이슬을 더욱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세르비아의 견제가 강했음에도 불구하고, 강이슬은 슈팅을 주저하지 않았다. 슈팅을 하는 것만으로 세르비아에 긴장감을 줬다. 또, 제 타이밍에 슛을 했기에, 동료들이 공격 리바운드를 잡기도 수월했다.

슈팅이 들어가지 않아도, 골밑 수비와 리바운드, 핸드 오프와 볼 없는 움직임 등 기본적인 임무에 집중했다. 6개의 리바운드(공격 : 1)와 2개의 어시스트, 1개의 스틸을 세르비아전 기록지에 남길 수 있었던 이유.

그리고 강이슬이 33분 동안 코트에 있었기에, 김단비와 박지현, 윤예빈(180cm, F)과 박혜진(178cm, G) 등 외곽 자원이 반사 이익을 누렸다. 사실 강이슬이 코트에 없었다면, 한국 가드진한테 이렇다 할 슈팅 기회가 찾아오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만큼 강이슬의 코트 존재감은 컸다.

물론, 강이슬의 세르비아전 화력은 아쉬웠다. 그러나 확실한 슈터가 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줬다. 강이슬이라는 확실한 슈터는 동료의 화력을 지원했고, 강이슬에게 화력을 지원받은 동료는 과감한 공격과 득점으로 화답했다. 이는 세르비아전 분전으로 이어졌다.

사진 제공 = FIBA

Copyright ©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