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이미 국내 우세종..방역수칙 지키며 백신 추가 구매 검토해야

석혜원 2021. 7. 31. 22: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문제의 델타변이바이러스가 한국에서는 어떤가.

우리도 이미 감염자 가운데 가장 많은 이른바 '우세종'이 됐습니다.

3차 백신 접종과 같은 새로운 대책들이 필요해 보입니다.

계속해서 석혜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홍대 근처 술집의 원어민 강사모임에서 시작된 집단감염.

감염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했고, 확진자 중에 델타 변이가 확인됐습니다.

역학조사는 델타 변이의 확산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이번 달 넷째 주 실시한 2,400여 건의 유전자 분석에선 절반 이상이 델타 변이였습니다.

유전자 분석은 전체 확진자의 15~20%만 표본으로 골라 실시하기 때문에 실제 델타 변이 감염자는 더 많다는 얘깁니다.

[마상혁/대한백신학회 부회장 : "(델타형이) 지역사회에 이미 많이 퍼져있다고 봐야 하는 상황이고요, 전파는 강하고 병원성은 약해져 있기 때문에 다수가 감염돼있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접종률이 가장 높은 이스라엘에서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3차 접종을 시작했는데,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추가 접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김정기/고려대 약학대학 교수 : "추가적인 접종량은 더 적은 양을 쓰더라도 (면역) 상승폭이 높아질 수 있거든요. (백신)물량이 제한적이더라도 보다 더 많은 사람에게 부스터 샷을 놓을 수 있다..."]

외국 제약사에서 개발 중인 델타 변이 전용 백신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김우주/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 "지금 우리가 맞고 있는 거는 우한 바이러스예요, 오리지널 바이러스. 우한 바이러스와 델타 바이러스는 거리가 있죠. 델타 변이바이러스로 만든 부스터 샷을 맞아야겠죠."]

전문가들은 백신의 효과는 여전히 유효한 만큼 접종을 차질 없이 추진하면서 방역수칙 단계를 섣불리 완화하지 않는 게 현재로선 델타 변이에 대응할 수 있는 해법이라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석혜원입니다.

영상편집:위강해/그래픽:김현석

석혜원 기자 (hey1@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