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순위 변동 하반기도 지속.. 비은행 계열사가 희비 가른다

이경탁 기자 2021. 7. 31.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지주들이 올해 상반기 호실적을 달성하면서 순위도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금융지주와 BNK·DGB·JB 지방금융지주가 올 상반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순위권에 변화가 생겼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로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융지주들이 비은행 계열사 경쟁력을 얼마나 갖추는지에 따라 올 하반기에 순위가 바뀔 수 있다"라고 전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부터)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사옥 전경. /각 사 제공

금융지주들이 올해 상반기 호실적을 달성하면서 순위도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지주가 돈을 벌어들이는 수익 원천이 바뀌면서 올 하반기에도 순위 변동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금융지주와 BNK·DGB·JB 지방금융지주가 올 상반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순위권에 변화가 생겼다.

시중금리 인상으로 모든 은행의 이자수익이 높았던 상황에서 실적 격차는 보험·증권·카드 등 비은행 계열사에서 벌어졌다.

가장 최근 2분기 실적발표를 마친 지방금융지주를 보면 부동의 지방금융 1위는 BNK금융이다. 올 2분기 2753억원을 비롯해 상반기에만 468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BNK캐피탈과 BNK투자증권을 중심으로 한 비은행 부문 순이익 비중이 작년 21%에서 30% 수준으로 성장했다.

DGB금융은 지난 2019년 이후 2년 만에 지방금융 2위 자리를 탈환했다. 올 상반기 순이익 2788억원을 달성하며, 2784억원을 기록한 JB금융에 앞섰다. 하이투자증권, DGB캐피탈 등 비은행 계열사의 순이익이 나란히 증가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DGB금융의 상반기 비은행 계열사의 이익 기여도는 지방금융지주 중 가장 높은 41.6%에 달했다. 최근 인수한 하이투자증권의 상반기 순이익은 8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8% 급증했다.

우리금융은 올해 NH농협금융에 앞서며 4위를 탈환했다. 우리금융의 올 상반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114.9% 늘어난 1조4197억원을 기록했다. 우리은행은 물론 우리카드, 우리금융캐피탈, 우리종합금융 등 비은행 계열사들이 골고루 성장했다. 우리금융의 비은행 계열사 순이익을 합산하면 2804억원이다.

농협금융은 필수로 지출하는 농업지원 사업비를 제외할 경우 상반기 순이익이 1조4376억으로, 우리금융보다 약 180억원 앞섰다.

코스피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지난 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경./연합뉴스

우리금융과 농협금융은 4위 자리를 놓고 매년 순위가 바뀌었다. 우리금융은 금융지주로 전환한 2019년 1조872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4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농협금융이 우리금융에 역전하며 4위에 올라섰다.

금융권에선 우리금융이 올해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증권사 계열사를 확보한다면, 향후 금융지주 4위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KB금융과 신한금융은 1위 자리를 놓고 경쟁이 치열하다. KB금융이 올 상반기 전체 기준으로 1위 자리를 수성했지만, 2분기만 보면 신한금융이 앞섰다. 하반기 실적에 따라 올해 순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

KB금융은 올 상반기 2조4743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신한금융은 2조443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두 지주 간 순이익 차이는 약 300억원에 불과했다.

최근 몇년 간 KB금융과 신한금융은 1위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 반복했다. 지난 2018년 신한금융에 1위 자리를 내준 KB금융은, 지난해 다시 신한금융을 제쳤다.

올 상반기 KB금융이 올해 신한금융보다 순이익 실적을 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푸르덴셜생명보험 인수 덕분이다. 지난해 8월 자회사로 편입한 푸르덴셜생명의 상반기 순익은 192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9.1% 급증했다.

수익구조는 신한금융과 KB금융의 은행 비중이 각각 53%, 54.8%로 비슷했다. 보험과 증권 순이익은 KB금융, 카드 순이익은 신한금융이 앞섰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로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융지주들이 비은행 계열사 경쟁력을 얼마나 갖추는지에 따라 올 하반기에 순위가 바뀔 수 있다”라고 전망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