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행 비행기[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306〉

나민애 문학평론가 2021. 7. 31.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남들은 잘도 피서를 간다.

질 수 없으니 나도 간다.

바로 김점용의 '나 혼자 남아 먼 사랑을 하였네'이다.

한참 투병할 때 나온 것이 이 시집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익룡의 깃털이 비대칭이어서 하늘을 날 수 있었다지만 /이렇게 갑자기 날지는 않았겠지 / 가끔은 적에게 쫓겨 죽은 척도 하고 / 잠시 잠깐 죽는 연습도 하며 / 이 무거운 별에서 이륙하기 위해 죽어라 달리다가 / 덜커덕 죽기도 했겠지 / 한 마리의 익룡이 하늘을 날기까지 겪었던 무수한 실패와 / 단 한 번의 성공을 / 나는 지금 날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다 보고 있는데 / 모든 별들이 살아 있는 죽음을 나르는 칠성판 / 영원히 사는 인생이 어딨어 / 내 머릿속의 별들도 조용히 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 혼자서 스스로의 장례를 치르며 두 팔을 활짝 벌리네

― 김점용(1965∼2021)




남들은 잘도 피서를 간다. 질 수 없으니 나도 간다. 에어컨이 제일 시원한 곳, 이번 피서지는 병원이다. 사실 7월 말 8월 초는 아프기 좋은 계절이다. 일감은 적고 일하기는 싫다. 한 일주일 사라져도 그러려니 한다. 병원 가면 더 읽고 싶은 시집이 있다. 바로 김점용의 ‘나 혼자 남아 먼 사랑을 하였네’이다.

이 시인은 뇌종양을 앓다가 올봄에 돌아가셨다. 한참 투병할 때 나온 것이 이 시집이다. 김점용 시인의 뇌에는 아스트로싸이토마라고 하는, 별무리 모양의 성상세포종이 자랐다고 한다. 남들은 그걸 ‘악성’이라고 부르며 미워했다. 그러나 시인은 그걸 ‘내 머릿속의 별들’이라고 불렀다. 영원히 살 것처럼 살았는데, 한쪽으로 치우쳐서 살아왔는데, 그러지 말라는 깨우침을 주기 위해 그 별들이 찾아왔다고 말했다.

그는 ‘머릿속의 별들’을 자기 세상에 조명처럼 띄워 놓았다. 거기서 익룡도 보고, 밤하늘도 보고, 창공의 비행도 본다. 환자복을 입고 혼자 병실에 앉아 이런 시를 썼다는 것은 완치만큼의 기적이다. 아파도 삶과 세상에 분노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 믿기 어려운 그걸 이 시인이 보여줬다. 굉장히 억울해도 농담하며 웃어버리기. 쉽지 않은 그걸 이 시인이 해냈다.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할까. 안 읽으면 손해다. 짐을 꾸릴 때, 이 시집만은 꼼꼼하게 챙겨 넣고 싶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