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의 독립운동가' 이길용·송진우·여운형 선생 선정

이종윤 2021. 7. 30. 13: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보훈처는 30일 이길용·송진우·여운형 선생을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동아일보 체육부장이었던 이길용 선생은 미술 담당인 이상범 기자와 함께 손기정 가슴의 일장기를 지워 버렸다.

1933년 2월 여운형 선생이 사장으로 부임한 조선중앙일보는 1936년 8월 13일 자에 손기정 선수 가슴 일장기를 지운 사진을 실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손기정 선수의 일장기를 지운 사진 보도한  실행자와 언론사 책임자로 민족정신 일깨워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송진우, 여운형, 이길용 선생.. (제공=국가보훈처). 2021.07.30.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국가보훈처는 30일 이길용·송진우·여운형 선생을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수의 가슴 일장기를 지우고 보도한 '일장기 말소사건'의 실행자와 언론사 책임자들이다.

손기정은 1936년 8월 제11회 베를린 올림픽에 출전해 마라톤 경기에서 2시간 29분 19초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당시 손기정의 쾌거는 "조선의 청년이 세계를 제패했다"라는 긍지이자 희망이었지만 시상식에서 '기테이 손'이라는 일본식 이름이 호명됐고, 일장기가 게양됐다.

당시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는 "가슴에 나라 잃은 한을 품고 혼을 불살라 이룬 조선인 손기정의 우승마저 일본에 빼앗겨서는 안된다"며 민족지 언론으로써 자존심을 지키고자 했다.

동아일보 체육부장이었던 이길용 선생은 미술 담당인 이상범 기자와 함께 손기정 가슴의 일장기를 지워 버렸다.

1933년 2월 여운형 선생이 사장으로 부임한 조선중앙일보는 1936년 8월 13일 자에 손기정 선수 가슴 일장기를 지운 사진을 실었다. 그후 자진 휴간을 선언했고, 총독부가 속간을 허락하지 않았다.

여운형 선생은 총독부의 타협책을 거부하다 물러났고, 조선중앙일보는 복간하지 못한 채 폐간됐다.

정부는 이길용 선생에게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송진우 선생에게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여운형 선생에게는 200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이어 200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