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취업 문제없어요"..대구경북 대학연합 금융동아리 'DIS'[스물스물]

우성덕 2021. 7. 30. 10: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2년 대구경북 대학생들 의기투합해 설립
매주 일요일 3시간씩 금융 이슈 등 스터디
치열한 경쟁 뚫고 상당수 금융권 취업 성공
대구경북 대학연합 금융동아리 'DIS'회원들이 영상 스터디를 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DIS)
"금융권 취업을 목표로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갖고 있다 보니 좋은 성과가 나오는 것 같아요"

대구경북지역 대학생들로 구성된 금융 동아리 'DIS(Daegu Intensive Study of Finance)' 가 대학생들의 인기 직종 중 하나인 금융권 취업문을 활짝 열고 있다. DIS는 경북대 계명대 영남대 등 대구경북지역 대학생들이 은행, 증권사 등 금융권 취업을 목표로 만든 연합체 동아리다.

2012년 설립돼 올해 10년째를 맞아 역사가 그리 길지는 않다.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경우 금융 관련 연합 동아리들이 활성화 돼 있지만 대구경북지역 대학들의 경우 대학생 전체가 함께 참여하는 금융 동아리가 없다는 취지에서 설립됐다.

DIS는 이미 졸업생 상당수가 금융권 취업에 성공하며 스터디의 노하우가 쌓이는 등 동아리의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대구경북 대학연합 금융동아리 'DIS'회원들이 면접 스터디를 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DIS)
동아리를 만든 1기 회장이 삼성증권에 취업한 것으로 시작으로 이후에도 여러 기수들의 졸업생 상당수가 금융공기업과 은행, 보험사 등에 취업을 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 졸업한 회원들도 코로나19로 인해 어느 해보다 어려운 취업난을 뚫고 농협 등에 취업하는 성과를 거뒀다.

DIS가 취업 현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체계적인 커리큘럼과 취업 선배와의 적극적인 네트워크 덕분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로 스터디 방식의 변동성은 크지만 원칙은 매주 일요일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오프라인에서 만나 총 3교시 진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1교시는 신문 브리핑을 통해 한 주간 가장 이슈가 된 뉴스를 서로 정리해 언급하고 2교시는 시사 PT를 통해 경제 이슈 중 부동산 암호화폐 주식 등 가장 뜨거운 논란이 되는 이슈를 한 가지 골라 개인별로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3교시는 주제를 정해 토론 등을 하며 금융권에 꼭 필요한 면접 준비를 하는 시간을 갖는다. 최근에는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화상 프로그램인 줌을 통해 이런 커리큘럼으로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다.

대구경북 대학연합 금융동아리 'DIS'회원들이 토론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DIS)
DIS의 또 다른 강점은 한 학기에 한 번 취업 선배들을 초청해 선후배들과 교류의 시간을 갖는 '홈커밍데이' 행사다.

이 행사는 취업 선배 10여명이 참석해 취업 노하우와 면접 요령, 실무 경험, 공부 방법 등 취업상담을 해 주는 자리로 취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조언인 속칭 '찐조언'을 듣는 자리다. 금융권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의 경우 현직에 있는 사람들과 자주 만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아쉬운 부문이기 때문에 이 행사를 통해 후배들의 궁금증을 풀어주고 취업에 대한 동기 부여도 해 주고 있다. DIS는 매년 두 차례 15명 정도의 신입 회원을 선발해 운영되고 있다.

계명대 언론정보학부에 재학 중 김호일 DIS 회장은 "선배들이 늘 'DIS는 가족이다'며 든든한 힘이 되어주고 있고 DIS에 모인 학생들도 같은 목표를 두고 함께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며 "지금은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전국적인 동아리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스물스물은 '20년대를 살아가는 20대'라는 의미의 신조어입니다. 사회 진출을 준비하거나 첫 발을 내딛고 스멀스멀 꿈을 펼치는 청년들을 뜻하기도 합니다. 매일경제 사회부가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등 20대 독자의 눈높이에 맞춰 참신한 소식에서부터 굵직한 이슈, 정보까지 살펴보기 위해 마련한 코너입니다.

[대구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