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올해 들어 암호화폐 이용자 1억명 증가..총 2억 2100만명 추산" 등

코인니스 2021. 7. 30. 10: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처 : 크립토닷컴
[“빗썸 매도 오류로 코인 시세의 1/27 수준에 팔려”…투자자 소송]

코인데스크코리아에 따르면 빗썸이 13억원 상당의 코인 매도 주문 오작동을 이유로 소송에 휘말렸다. 빗썸 이용자 A씨는 지난달 2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빗썸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A씨는 2021년 3월 29일 오후 9시 2분 빗썸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루나(LUNA) 900개를 매도하려 했다. 하지만 A씨가 매도 버튼을 누르기 직전 빗썸 앱이 약 1분간 멈췄다. A씨는 앱의 재작동을 위해 스마트폰 화면을 두드렸고, 이후 화면이 다시 작동했으나 보유하고 있던 루나 6만1765개가 시장가로 팔렸다. 빗썸 차트에 따르면, 1시간봉 기준 3월 29일 시간당 루나 거래량은 4만~7만개 수준이었다. 빗썸 전체 거래량과 맞먹는 물량이 한순간에 쏟아지자 시장가는 821원까지 떨어졌다. 결국 A씨가 인지하지 못한 사이 6만여개가 전량 시장가에 매도됐다. 고소장에 따르면, 당시 시가 기준 A씨가 보유한 루나 가치는 13억7000만원 이상이었지만, 매도 주문 오류로 실제로는 7억원 미만에 거래됐다. 이로써 7억원이 넘는 손실을 입었다는 게 A씨의 주장이다. A씨는 코인데스크 코리아와의 통화에서 “빗썸은 시장가 매매 시 10억원까지만 주문을 넣을 수 있다고 공지하고 있는데, 당시 체결된 주문은 (정상적인 시가 기준) 13억원을 넘기에 애초에 주문 명령이 입력되선 안 된다”며 “하지만 빗썸은 최종적으로 체결된 금액이 7억원 미만인 만큼 문제 없다고만 한다”고 토로했다. 빗썸은 A씨가 보낸 내용증명에 대해 “빗썸 서비스 문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다”며 “다른 이용자가 시장에서 매수한 것이기에 빗썸이 특별히 조치할 방법도 없다”고 답변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CEO “BTC 매입에 자본 지속 투입할 것”]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CEO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디지털 자산 전략을 취한 결과에 계속 만족하고 있다. 최근 증자를 통해 10,500 BTC를 추가 매입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디지털 자산 전략에 자본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2분기 재무보고에 따르면, 보유 중인 디지털 자산(BTC)의 6월 30일 기준 장부 가치가 20억 5100만 달러(시장 가치 약 42억 달러)다. 약 10만 5085 BTC로, 취득 후 가치 하락에 따른 손실은 4억 2480만 달러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2분기 손실은 2억 9930만 달러다. 반면 전년도 2분기에는 300만 달러 이익을 기록했다. 같은기간 매출은 1억 2500만 달러로 13.4% 늘었다.

[美 하원의원, 다수 규제 기관 아우르는 암호화폐 취급 법안 발의]

더 블록에 따르면 돈 바이어(민주당) 하원 의원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광범위한 규제 프레임워크 도입을 골자로 한 ‘디지털 자산 마켓 구조 및 투자자 보호 법’을 발의했다. 법안에는 5개 증권법, 상품 거래법, 은행 보안법 등의 암호화폐 자산 취급과 스테이블 코인 및 디지털 법정화폐에 대한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의 취급 방식 등을 다룬다. 이와 관련해 바이어 의원은 “디지털 자산 보유자들은 그동안 사기, 절도, 시장 조작의 타깃이 되었지만, 의회는 지금까지 전문가들과 연방 규제 기관들의 요청을 무시해왔다. 디지털 자산 보유자와 투자자들에게 기본적인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미디어는 “그동안 금융 규제 시스템 내 디지털 자산의 정의를 성문화하기 위한 법안들은 제안됐지만, 한번에 다수의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안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평가했다. 법안이 통과되면 SEC와 CFTC는 디지털 자산 및 시장에 대해 법적 명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강제된다. 또한 은행 보안법 내 화폐수단으로 추가된다. 이 경우 암호화폐는 자금 세탁 방지, 기록 및 보고 표준에 적용된다. 이외에도 스테이블 코인은 발행전 재무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컨센시스 CEO 조 루빈 “퍼블릭 메인넷-기업 간의 융합, 어느 때보다 긴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이자 이더리움 인프라 기술 개발 업체 컨센시스(ConsenSys) CEO인 조 루빈(Joe Lubin)이 EEA(Enterprise Ethereum Alliance) 기념일 행사에 참석, 퍼블릭 메인넷과 기업 버전의 기술 간 융합이 어느 때보다 강화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컨버전스 내러티브 측면에서 봤을 때, JP모건과 골드만삭스 등 은행이 퍼블릭 메인넷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디지털자산 중심으로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다”며 “지금은 신뢰 기반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생각할 수 있는 순간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이 시기가 오고 있다고 말했으니, 이제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조 루빈은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 이더리움 창시자 등과 함께 암호화폐, 디파이, NFT 등에 대해 연설했다.

[분석 “올해 들어 암호화폐 이용자 1억명 증가..총 2억 2100만명 추산”]

크립토닷컴의 최근 보고서를 따르면, 올해 들어 전세계 암호화폐 이용자가가 2배 이상 증가하며 2억 210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 1월~7월 약 1억명의 새로운 암호화폐 이용자가 생겨났다. 전세계 암호화폐 사용자 수는 온체인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산된다고 크립토닷컴은 설명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디파이 시장의 성장과 11월 페이팔의 미국 이용자 대상 암호화폐 결제 게이트웨이 도입 등이 이용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레이스케일과 마이크로스트레티지, 테슬라, 마스터카드 등 기관의 암호화폐 도입 관련 뉴스가 사용자 데이터 증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IMF 총재 “비트코인, 화폐로 취급할 수 없다”]

유투데이에 따르면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Kristalina Georgieva) IMF 총재가 존 롤(John Rolle) 바하마 중앙은행 총재와 담화에서 비트코인을 화폐로 취급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비트코인이 화폐가 되기 위해선 광범위하게 수용돼야 한다”면서 “이 같은 목표에 도달하려면 한참 멀었다”고 말했다.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법화 채택에 관해선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심해 과세 및 지출 계획, 상품 가격 책정 등이 어렵다”며 “또한 비트코인은 에너지 낭비가 큰 데다, 훨씬 우수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체품이 있다는 점에서 정당화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가장 안전한 결제 수단이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코인니스 제공]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