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폭염 속 육상경기, 선수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도쿄 올림픽]

박신원 인턴기자 2021. 7. 30.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폭염 속에 치러지는 도쿄올림픽 육상경기가 선수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업체 '헥사곤'은 두 가지 기후조건에서 1만m 달리기경기를 치렀을 때 선수의 체온변화를 추정한 결과를 2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도쿄 7월 기후평균에 맞춰 기온과 습도를 각각 27도와 70%로 설정한 상황에서 도쿄올림픽 스타디움 트랙을 1만m 달린 선수의 심부체온(몸 안쪽 온도)은 39도까지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웨덴업체, 선수 체온변화 추정 시뮬레이션 결과 공개
38도면 '고열'인데 1만m 뛸 때 체온 39도 넘어
26일 일본 도쿄 오다이바 해상공원서 열린 도쿄올림픽 트라이애슬론(철인3종경기) 남자 개인전 경기를 마친 선수들이 바닥에 쓰러져 있다. 이날 선수들은 무더위에 지쳐 쓰러졌으며, 일부는 구토를 하기도 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폭염 속에 치러지는 도쿄올림픽 육상경기가 선수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업체 '헥사곤'은 두 가지 기후조건에서 1만m 달리기경기를 치렀을 때 선수의 체온변화를 추정한 결과를 2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도쿄 7월 기후평균에 맞춰 기온과 습도를 각각 27도와 70%로 설정한 상황에서 도쿄올림픽 스타디움 트랙을 1만m 달린 선수의 심부체온(몸 안쪽 온도)은 39도까지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과 발 체온은 37도까지 상승했다. 인간의 체온은 보통 37도 안팎으로 38도 이상이면 '고열'로 판단된다. 체온이 39도까지 오르면 '임계점'을 넘는 수준으로 열사병에 직면할 수 있다.

스웨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업체 '헥사곤'이 기온과 습도가 각각 32도와 90%인 상황에서 1만m 달리기경기를 했을 때 선수의 체온을 시뮬레이션한 모습. /연합뉴스

이번 시뮬레이션에서 기온과 습도를 각각 32도와 90%로 올리면 1만m를 달린 뒤 선수의 심부체온이 39.7도까지 올랐다. 특히 머리 쪽 심부체온도 39.2도에 달하면서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는 열에 취약한 장기로 체온이 지나치게 오르면 뇌 신경세포가 죽거나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습도가 90%면 약 30분간 뛰었을 때 흘리는 땀의 양이 810㎖로 습도가 70%인 때(630㎖)보다 29% 많은 것으로 추산됐다. 케이스 한나 헥사곤 부대표는 "이번 시뮬레이션은 경기환경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 신체가 극단상황에 몰렸을 때 어떤 위험을 떠안아야 하는지를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도쿄에서 올림픽 개최가 결정된 직후부터 폭염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도쿄는 1984년 이래 올림픽 개최도시 가운데 7월 말과 8월 초 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도시다. 작년과 재작년 도쿄에서 열사병으로 치료받은 사람은 각각 6만5,000명과 7만1,000명이며 열 때문에 숨진 이는 각각 112명과 118명이었다.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