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만 삼성전자 주주는 웁니다"..최고실적에도 '7만전자' 늪 탈출 못해

노현 2021. 7. 29. 17: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분기 영업익 12조, 11분기만에 최고지만 반도체 편중 심화
총수 부재로 신사업 결정 지연..주가 '7만전자 늪' 탈출못해

◆ 성장동력 못찾는 삼성전자 ◆

삼성전자가 메모리 반도체 호황에 올라타 11분기 만에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그러나 '깜짝 실적'에도 주가 하락세를 막지는 못했다. 이에 따라 올해 들어 사상 처음으로 500만명을 넘어선 국내 삼성전자 주주들의 시름도 커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실적과 주가 간 '부조화'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9일 삼성전자는 2분기 연결기준 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 63조6716억원, 영업이익 12조5667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 53조원과 영업이익 8조1500억원을 올린 지난해 2분기에 비해 매출은 20.2%, 영업이익은 54.3% 각각 증가한 것이다.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였다.

매출은 역대 2분기 최대치이며 영업이익은 반도체 초호황기였던 2018년 3분기(17조5700억원)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1분기의 2배가 넘는 6조9300억원을 벌어들인 반도체 부문 선전이 실적 호전을 이끌었다.

이 같은 역대급 실적 발표에도 삼성전자 주가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전일 대비 0.25% 내린 7만9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지난 7일 이후 2.2% 하락한 수준이다.

주가 부진에 올해 들어 급증한 개인투자자 속도 타들어가고 있다. 정보기술(IT)·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보통주와 우선주 주주를 합한 삼성전자 주주는 총 57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296만명이었던 삼성전자 주주는 주식투자 열풍과 동학개미 운동에 힘입어 지난 1분기 497만명으로 급증한 데 이어 2분기에는 60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늘어났다. 반년 만에 주주가 2배로 증가한 셈이다.

올해 들어 주당 8만1000원으로 시작한 삼성전자 주가는 2% 넘게 하락했다. 구글 주가가 올해 50% 넘게 상승하는 등 세계 주요 IT 기업 주가가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주가 부진은 이례적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증설투자 결정이 지연되고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인수·합병(M&A)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결국 리더십 부재 상태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경묵 서울대 교수는 "경쟁사 대비 부진한 삼성전자 주가는 삼성이 오랜 기간 사법 리스크와 이로 인한 총수 부재 사태를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며 "삼성이 경영 정상화를 통해 성장동력을 찾아야 투자자들이 투자에 대한 희망과 한국 기업에 대한 믿음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적 덮어버린 '불안한 미래'…애플 주가 14% 뛸때 삼성 2% 뚝

삼성전자 주가 왜 이러나

엔비디아 47%, MS 29%…
코스피도 올들어 13% 상승

당장 실적악화 우려는 없어도
리더십 공백에 투자시계 멈춰

2030 투자자 비중 40% 육박
"코인 실패 후 삼성 샀는데…"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12조5700억원으로 `깜짝 실적`을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한 시민이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지하에 위치한 삼성딜라이트샵 앞을 지나가고 있다. [박형기 기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호황과 비대면 수요 확대 등 정보기술(IT) 호황을 타고 잇달아 깜짝 실적을 선보이고 있지만 주가는 역주행하고 있다. 이를 두고 재계에서는 신사업으로의 전면적 전환 없는 단기적인 호실적만으로는 투자자들의 호응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가 내놓은 호실적이 신성장동력의 발굴이나 기존 사업의 대폭 성장을 통해 거둔 것이 아니라 공급망 관리와 비용 절감 등을 통해 거둔 것으로 주가를 레벌업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최고경영진 부재로 대규모 투자 등 의사결정이 지연되면서 삼성전자의 성장동력이 잠식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9일 역대급 호실적 발표에도 삼성전자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0.25% 내린 7만9000원을 기록했다. 이날 주가 하락을 이끈 것은 외국인투자자의 매도세였다. 외국인은 이날 하루 새 삼성전자 주식을 2088억원어치 팔아치웠다. 이는 전 종목 중 순매도 1위에 해당한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 기대감과 대규모 5G 장비 수주 기대감으로 주가가 9만원을 넘어섰던 모습과는 딴판이다. 깜짝 실적에도 삼성전자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처음은 아니다. 지난 7일 2분기 잠정실적 발표 당시에도 삼성전자 주가는 전일 대비 0.49% 내린 8만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같은 삼성전자 주가 부진은 세계적으로 봐도 이례적이다. 삼성전자의 주요 경쟁사들은 IT 호황을 등에 업고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28일 기준으로 연초 대비 주가 상승률은 구글 51%, 엔비디아 47%, 마이크로소프트 29%, 시스코 24%, 애플 14%에 달한다. 삼성전자 주가 상승률은 올해 13% 상승률을 보인 코스피와 비교해도 15%포인트 미달했다. 이 같은 현상은 삼성전자가 오랜 기간 사법 리스크와 이로 인한 총수 부재 사태를 겪고있기 때문이라는 게 재계 분석이다. 투자자는 현재 실적보다 미래 가능성을 더 중시하는데, 총수 부재로 중요 의사결정이 지연되면서 과감하게 신사업에 드라이브를 걸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재용 부회장이 올해 1월 국정농단 재판에서 실형 확정 판결을 받고 수감된 이후 삼성전자는 다방면에 걸친 복합위기에 처했다. 올해 1분기 기준 사상 최대인 유동자산(1년 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 약 209조1500억원을 쌓아올렸지만 이렇다 할 인수·합병(M&A)과 설비투자가 없는 형국이다.

주력 사업인 반도체와 스마트폰마저 위기를 맞고 있다. 스마트폰 사업의 경우 애플 및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과의 경쟁으로 3년째 역성장 중이다. 삼성전자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장악력은 매년 악화되고 있다. 2017년 21.1%였던 스마트폰 판매량 점유율은 올해 2분기 19%까지 떨어졌다.

IT업계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보통주와 우선주 주주를 합한 삼성전자 총 주주 수는 575만명으로, 600만명에 육박한다. 이는 1000만여 명으로 추산되는 전체 개인투자자의 절반이 넘는 규모다. 과거 임직원과 소수의 주주만이 누렸던 삼성전자 성장의 과실을 지금은 전 국민이 누릴 수 있게 됐다는 의미다.

실제로 삼성전자 주주 10명 중 9명은 500주 미만을 가진 소액주주들이다.

특이할 만한 점은 삼성전자 주주 가운데 MZ세대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삼성전자 주주 가운데 30대 비중이 22.81%, 20대가 14.5%, 20대 미만이 5.34% 등 40대 미만 주주 비중이 42.7%에 달했다. 이 같은 이유로 일각에서는 "부동산 가격 급등과 가상화폐 투자에 좌절한 MZ세대들이 삼성전자 주가 하락으로 또다시 상처를 받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