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앞 직접 간 윤석열 최재형 "文 드루킹 사과하라"

정주원,이희수 2021. 7. 29. 17: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선 국면서 '反文 결집' 시도
尹 "文정부 정통성 의문 심각
특검 연장해 책임자 수사해야"
崔 "文, 분명한 입장 표명해야"
안철수 "올림픽 금메달 선수도
도핑 발각되면 메달 박탈당해"
野, 1인 릴레이 시위 시작
국민 절반 "文 사과 필요"
야권 대선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왼쪽 사진 왼쪽)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오른쪽 사진 왼쪽)이 29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하며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을 만나고 있다. [이승환 기자]
야권 대선 주자들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드루킹 사건'과 관련한 사과를 촉구하고 나섰다. 29일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이 주도한 청와대 앞 1인 시위 현장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 최재형 전 감사원장,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등이 일제히 방문해 힘을 보탰다. 이들은 문재인정부 탄생의 정통성에 문제를 제기했고, 차기 대선 국면에서 이 사안을 정치 이슈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소속 5선 중진인 정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에서 '대통령님, 민주주의 파괴한 드루킹 대선 여론 조작 왜 모른 척하십니까. 사과하십시오'라고 쓰인 팻말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였다. 지난 27일 의원 단체대화방에 릴레이 시위를 제안한 데 이어 첫 주자로 나선 것이다. 이틀 차인 30일에는 검사 출신 유상범 의원이 이어갈 예정이다.

청와대 앞 1인 시위 현장을 찾은 윤 전 총장은 "여론조작 측면에서 국정원 댓글 사건과는 비교가 안 된다"며 "국민이 정부의 정통성에도 심각한 의문을 갖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 대표도 오전 일찍 시위 현장을 방문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에선 지난 대선에서 어차피 문 대통령이 당선됐을 거라고 주장하는데 백번 양보해서 문 대통령의 당선 확률이 높았더라도 올림픽 금메달 유력 후보가 도핑을 해도 괜찮다는 말이냐"며 "금메달을 딴 선수도 도핑이 발각되면 금메달이 박탈된다. 이 정권은 처음부터 정통성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야권 대선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왼쪽 사진 왼쪽)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오른쪽 사진 왼쪽)이 29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하며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을 만나고 있다. [이승환 기자]
최 전 원장 역시 청와대 앞에서 시위 중인 정 의원과 만난 뒤 "대통령께서 분명한 입장 표명과 사과를 안 하신다면 앞으로 다시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며 "(대통령의) 적극적인 책임 유무를 떠나서 그 부분을 분명히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부 주자들은 추가 수사도 주장하고 있다. 윤 전 총장은 앞서 입장문을 통해 "진짜 책임자와 공범에 대해 수사해야 한다"며 "허익범 특검에게 진짜 책임자와 공범을 수사할 수 있도록 활동 기간을 연장해 재개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대표도 "몸통을 밝혀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번 대선에서 최악의 디지털 부정선거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지난 일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문 대통령의 사과가 꼭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이 문제에 대해 모든 야권의 대선 후보와 국회의원들이 함께 힘을 모아 강하게 요구해야만 한다"며 "국민의당도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국민 2명 중 1명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구속과 관련해 문 대통령의 사과가 필요하다고 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매일경제·MBN 의뢰로 알앤써치가 지난 26~28일 만 18세 이상 11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0%포인트)에서 '지난 대선 댓글 조작 사건 관련 김 전 지사의 구속에 대해 대통령의 사과가 필요하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응답률은 '필요하다' 50.5%, '필요하지 않다' 42.8%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89.9%가 필요하다고 답한 반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78.5%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해 정치 성향에 따라 극명하게 갈렸다.

[정주원 기자 / 이희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