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5억원 규모 초거대AI 개발 사업에 고려대 컨소시엄 선정

차현아 기자 2021. 7. 29. 17: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려대학교 주관의 'K-Hub 그랜드 컨소시엄'이 AI(인공지능) 혁신허브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컨소시엄은 5년간 445억원을 지원받아 AI 연구 사업을 진행한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번 AI 혁신허브에 주요 연구자가 대부분 참여하는 만큼 국내 AI 역량을 한 차원 높여 줄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혁신 허브가 연구와 인재 양성에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

고려대학교 주관의 'K-Hub 그랜드 컨소시엄'이 AI(인공지능) 혁신허브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컨소시엄은 5년간 445억원을 지원받아 AI 연구 사업을 진행한다.

K-Hub 그랜드 컨소시엄에는 국내외 57개 대학·119개 기업·18개 연구소 등 총 215개 기관이 참여한다. 컨소시엄은 두 개 연구그룹으로 나뉘어 초거대 AI 핵심기술 개발과 분야별 특화 AI를 개발한다. 고려대와 카이스트, 연세대 등이 참여하는 연구그룹이 초거대 AI 기술을, 서울대, 성균관대, 울산과기대 등의 그룹이 로봇과 드론, 모바일 등 분야 별 특화 AI를 개발한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와 카네기멜론대(CMU) 등 해외 대학 31곳과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 17곳, 프라운호퍼, 막스플랑크연구소 등 해외 유수 연구소 11곳도 연구에 참여한다.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인프라도 마련된다. 최대 1000명이 동시에 이용가능한 50페타플롭스(PF) 규모의 컴퓨팅 센터가 구축되고, KT, 네이버 등이 보유한 컴퓨팅 인프라가 연구과정에 지원된다. 대학 내 타 전공 석박사를 대상으로 한 AI 융합과정과 대학 간 학점교류, 지역 내 기업 재직자 대상 AI융합기술 과정 등 인재양성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번 AI 혁신허브에 주요 연구자가 대부분 참여하는 만큼 국내 AI 역량을 한 차원 높여 줄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혁신 허브가 연구와 인재 양성에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출근한 엄마에 160통 전화…초6 딸 고통스런 이유 있었다"국모를 꿈꾸는 여인"…벽화 이어 '나이스 쥴리' 뮤비 등장'여신 미모' 中 수구선수, 필터 벗기자… "누구세요?""집안이 반대하는 결혼"…최화정, 21세 연하 이민웅과 커플샷짝사랑 남자랑 연애한다고…"상도덕 없는 XXX" 욕한 女상사
차현아 기자 chacha@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