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력 감퇴 막으려면 딸기·고추 많이 먹어야"

한건필 2021. 7. 29. 1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일과 야채가 풍성한 지중해식 식단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다.

연구를 이끈 월터 윌렛 하버드대 교수는 "인지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뇌에 대한 혈액공급의 손상"이라며 "플라보노이드의 항염증 기능이 혈액공급의 보호를 돕고, 이는 다시 인지저하의 속도를 늦추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과일과 야채가 풍성한 지중해식 식단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다. 여기에 인지기능 저하를 막고 늦춘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더해졌다.

하루에 약 600mg의 플라보노이드를 섭취한 사람은 150mg을 섭취한 사람보다 인지 저하 위험이 20%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CNN이 29일 보도했다. 미국신경학술지(American Academy of Neurogy)에 게재된 하버드대 연구팀의 논문을 인용 보도한 것이다.

플라보노이드는 과일과 채소의 껍질에서 많이 발견되는 항산화물질이다. 특히 껍질 채 먹을 수 있는 딸기와 블루베리 같은 베리류의 과일이나 고추와 피망 같은 페퍼류 채소에 많다. 사과 하나에 약 113mg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돼 있다면 100g의 딸기에는 180mg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돼 있다.오렌지 같은 과일과 샐러드 같은 채소에도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를 이끈 월터 윌렛 하버드대 교수는 "인지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뇌에 대한 혈액공급의 손상"이라며 "플라보노이드의 항염증 기능이 혈액공급의 보호를 돕고, 이는 다시 인지저하의 속도를 늦추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월렛 교수는 "사람의 뇌 기능은 20. 30대부터 저하되기 시작하지만 대부분 70대가 되기 전에는 알아차리지 못한다"면서 "평소 플라보노이드가 많이 함유된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그 하강곡선을 완만하게 만들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인지력 감퇴는 치매나 알츠하이머 같은 질환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이들 질환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약 75,00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사반세기에 걸친 추적조사로 이뤄졌다. 20년 동안 참가자들의 식습관을 추적한 후 4년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인지기능 저하를 판단하기 위해 '예/아니오'로 답하게 한 6개의 설문 결과를 수치화했다. 설문은 '쇼핑리스트 등 간단한 물건 목록을 기억하는 데 평소보다 어려움이 있는가'와 '한 순간부터 다음 순간까지 기억하는데 어려움이 있는가' 같은 질문으로 구성돼 있다. 윌렛 박사는 "연구 시작 당시 참가자들의 평균 연령은 50세였으며 현재 70~80대"라고 말했다.

미국 보훈처 소속 신경과 전문의인 대니얼 포츠 박사는 "인지력 감퇴는 천천히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투입할수록 미묘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면서 보통 2년여 걸쳐 이뤄지는 다른 연구에 비해 신뢰도가 훨씬 높다고 평가했다. 윌렛 교수는 "지금 현재의 우리 식단에 대한 선택이 훗날 우리의 뇌를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한건필 기자 (hanguru@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