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성적' LG전자, 美 월풀도 큰 격차로 따돌렸다

오문영 기자 2021. 7. 29. 15: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전자 여의도 트윈타워./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창사 이래 최고의 상반기 성적표를 받았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반기 사상 최대다. 특히 H&A(생활가전) 부문에서 2분기 연속 매출 신기록을 세우는 성과를 올리면서, 글로벌 경쟁사인 미국 월풀을 큰 격차로 따돌리며 생활가전 부문 세계 1위에 올랐다.

LG전자는 29일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2분기 매출액이 17조1139억원, 영업이익이 1조1127억원이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8.4%, 영업이익은 65.5% 증가한 규모다. 매출액은 역대 2분기 가운데 최대고 영업이익은 사상 처음 2분기 연속으로 1조원을 넘겼다.

'영업익 절반' 생활가전 몫…매출도, 영업익도 월풀 제쳤다
H&A사업본부는 올해 2분기에 매출액 6조8149억원, 영업이익 6536억원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견인했다. 역대 분기 최대치를 갈아치운 매출액은 해외 전 지역에서 고르게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32.1% 늘었다. 영업이익도 매출 확대와 효율적인 자원 운영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개선됐다.

LG전자는 공간 인테리어 가전인 'LG오브제컬렉션'의 꾸준한 인기가 뒷받침이 됐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늘어난 집콕 수요로 기존의 단품 구매는 물론 3개 이상의 제품들을 동시에 구입하는 패키지 구매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LG전자는 올해 2분기부터 중국을 비롯해 아시아와 유럽 등 해외시장에도 오브제컬렉션을 출시, 글로벌 공간가전 시장도 공략하고 있다.

특히 LG전자 생활가전은 올 상반기 매출액에서 월풀을 큰 격차로 앞서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점했다. 글로벌 생활가전시장에서 영업이익 기준으로는 LG전자가 세계 1위지만 매출 기준으로는 경쟁사인 월풀 다음을 지켜왔다. LG전자는 지난 1분기에 월풀을 약 7000억원 앞선 데 이어 2분기에도 8000억원 가량 앞섰다. 상반기에 총 1조6000억원 가량 앞선 것이다.

/사진=뉴스1(LG전자 제공)


HE(홈엔터테인먼트)사업본부는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를 앞세워 호실적에 기여했다. 올해 2분기 매출액 4조426억원, 영업이익 333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9.1%, 216.4% 늘었다.

LG전자는 'LG 올레드 에보'를 포함한 프리미엄 TV의 판매 호조가 성장을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올레드 TV는 판매가 큰 폭으로 늘어 전체 TV 매출 가운데 30% 이상을 차지했다는 설명이다.

VS(자동차부품사업)본부는 올 2분기 매출액 1조 8847억원, 영업손실 1032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수요가 회복되면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다만 차량용 반도체 수급 이슈로 인해 부품 가격이 상승하는 등 일시적으로 비용이 증가해 영업손실은 전분기 대비 늘었다.

BS(비즈니스솔루션)본부는 매출액 1조 6854억원, 영업이익 617억원을 거뒀다. PC, 모니터 등 IT(정보통신) 제품의 판매 호조가 이어지고 건설경기 회복세에 힘 입어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28.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주요 부품 가격과 물류비의 인상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3분기도 전년보다 실적 좋을 것"…연매출 '70조' 겨냥
LG전자는 3분기에도 전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프리미엄 가전과 TV 판매가 늘고 자동차 부품 사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이란 예측이다. 원자재 가격 인상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효율적 자원 운영과 공급망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준의 수익성을 내겠다는 계획이다.

H&A본부는 업체 간 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물류비 등이 증가해 원가 인상에 대한 부담이 우려된다.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 및 제품별 맞춤형 판매 전략을 추진해 매출 성장세를 지속 유지할 방침이다. 영업이익은 원가구조 개선과 자원투입 최적화를 통해 전년 동기 수준을 거둘 것으로 LG전자는 예측했다.

TV 시장에서는 프리미엄 TV 수요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HE본부는 올레드 TV를 포함한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매출을 늘리고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반도체 공급 안정화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봤다. VS사업본부는 글로벌 공급망 관리를 강화해 주요 부품을 확보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매출 극대화와 더불어 원가 절감을 지속해 수익성을 개선할 예정이다. BS사업본부는 경기 회복에 따라 주요 국가의 인프라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프리미엄 제품 중심의 판매를 확대해 매출을 늘릴 계획이다.

증권가는 올해 LG전자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더 좋을 것으로 전망한다. 연간 매출액은 70조 원에 육박하고 연간 영업이익도 처음으로 4조원을 넘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관련기사]☞ 출근한 엄마에 160통 전화…초6 딸 고통스런 이유 있었다"국모를 꿈꾸는 여인"…벽화 이어 '나이스 쥴리' 뮤비 등장'여신 미모' 中 수구선수, 필터 벗기자… "누구세요?""집안이 반대하는 결혼"…최화정, 21세 연하 이민웅과 커플샷"이건 사기다"…백종원, 닭갈빗집 사장 '방송용 눈물'에 '분노'
오문영 기자 omy072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