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개선 직접 압박한 美.."양국 원하면 역할할 것"

송영찬 2021. 7. 29. 14: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크 램버트 미국 국무부 한국·일본 담당 부차관보가 "한·일 양국이 원한다면 미국이 역할을 할 것"이라며 한·일 관계 개선을 촉구했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미국이 직면한 최대 도전'으로 규정하며 한·미·일 삼각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남북 통신연락선 복구가 미·북 대화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초점은 대중(對中) 견제를 위한 한·일 관계 개선에 더욱 맞춰져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크 램버트 미국 동아태 부차관보(오른쪽)가 지난 22일 서울 외교부청사에서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의 정의용 외교부 장관 예방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마크 램버트 미국 국무부 한국·일본 담당 부차관보가 “한·일 양국이 원한다면 미국이 역할을 할 것”이라며 한·일 관계 개선을 촉구했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미국이 직면한 최대 도전’으로 규정하며 한·미·일 삼각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남북 통신연락선 복구가 미·북 대화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초점은 대중(對中) 견제를 위한 한·일 관계 개선에 더욱 맞춰져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램버트 부차관보는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동맹 평화 콘퍼런스’에서 “미국은 한·일이 협력하지 않을 때 덜 안전하고, 한·일도 협력하지 않을 때 덜 안전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20세기에 일어난 만행은 있는 그대로”라며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강조하면서도 “그런 것을 하나의 바구니에 담아 다루되, 21세기에 그 나라들이 협력할 수 있는 것들로 또 다른 바구니를 채우는 게 우리의 과제”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이 무산된데 대해서도 아쉬움을 표했다. 램버트 부차관보는 “웬디 셔먼 부장관이 (아시아 순방 길에) 서울로부터 받은 첫 보고는 문 대통령이 도쿄올림픽에 간다는 것이었다”며 “일본에 도착했을 때 무산됐다는 게 명확해져 염려스러웠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날 한·일 차관을 만났을 때 그들이 서로 정중히 대해 안도했다”며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양국 사이에 공통의 기반이 얼마나 많은지를 얘기했는데 거기에 화해와 타협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 한국 젊은이들은 더 안전하고 안정적이고 번영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한·일 관계 개선이 더 큰 번영의 길이라고도 강조했다.

램버트 부차관보는 “미국이 직면한 최대 도전은 패권주의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중국”이라며 대중 견제 입장도 명확히 했다. 이어 “미국이 중국에 맞서려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들이나, 미국이 한국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이들에게 의문을 제기할 것”이라며 “우리는 동맹인 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중국의 도전에 대해 “민주 절차를 옹호하려는 다자 협의체 수가 늘고 있다”며 한·미·일 삼각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북·중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도 나왔다. 마커스 갈로스카스 전 미국 국가정보국 북한정보담당관은 지난 27일 복원된 남북 통신선에 대해 “한국과 계속 긴밀하게 접촉하며 그 의미를 확인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의 도발은 잠시 동안 없을 수도 있지만 북한의 무기 개발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 위반, 지속적인 주민 학대 등을 도발이라 한다면 도발은 사실상 계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통신선 복원이 남북 대화를 넘어 미·북 대화 재개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기대와 시각차를 보인 것이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