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中 경제 '공산당 리스크' 급속 악화, 脫중국 더 서둘러야

기자 2021. 7. 29. 11: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냉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미·중 대결이 격화하면서 이미 '중국 리스크'가 심상치 않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내부의 '공산당 리스크'까지 급속히 악화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엄청난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글로벌 투자 지표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이머징 마켓 지수에서 중국 기업 비중은 무려 37%다.

이미 많은 기업은 중국에서 동남아로 공장을 옮겼지만, 중국 비중은 여전히 막대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냉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미·중 대결이 격화하면서 이미 ‘중국 리스크’가 심상치 않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내부의 ‘공산당 리스크’까지 급속히 악화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엄청난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중국 정부가 지난 24일 사교육 회사의 주식 상장 금지 조치를 취한 것을 시작으로 규제 공포가 확산하면서 26일 이후 IT를 비롯, 부동산·바이오 주식을 중심으로 중국 기업 주가가 폭락했다. 26∼27일 이틀 동안 중국과 홍콩, 미국 증시에서 증발한 시가 총액만 무려 1000조 원에 달한다. 글로벌 투자 지표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이머징 마켓 지수에서 중국 기업 비중은 무려 37%다. 이를 감안하면 전 세계 투자자들이 막대한 손실을 봤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10월 알리바바 창업주 마윈(馬雲)의 정부 비판 이후 중국 정부는 인터넷 기업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민영 기업에 규제의 손길을 뻗기 시작했다. 특히 빅테크 기업들이 소비자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집·축적하면서 과도한 영향력을 갖게 됐다고 판단, 공산당의 기업 장악 흐름이 본격화했다. 최근엔 뉴욕 증시에 상장했던 ‘중국판 우버’인 디디추싱에 대해 중국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삭제하라는 명령까지 내렸다. 이번 사교육 기업 주가 폭락 사태는, 공산당 정부 마음먹기에 따라서 개별 기업 길들이기 차원을 넘어 특정 산업의 기반을 뿌리째 뽑아버리는 일도 언제든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진핑 체제 들어 중국 정치에 이어 경제까지 그간의 개혁·개방 흐름에서 역주행하는 데 대해 전세계가 우려한다. 특히 자국 기업의 독점 체제 구축과 외국기업 배척 움직임은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현지 경영을 갈수록 어렵게 한다. 이미 많은 기업은 중국에서 동남아로 공장을 옮겼지만, 중국 비중은 여전히 막대하다. G7 국가를 중심으로 ‘중국을 뺀 공급망’ 구축이 구체화하고 있다. 한국 정부와 기업이 이런 글로벌 흐름에 적극 참여하고 탈(脫)중국을 서두르지 않으면 더 큰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