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LG엔솔과 맞손..印尼배터리셀 합작공장 설립

손의연 2021. 7. 29. 08: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조1700억 투자해 2023년 완공..2024년 배터리셀 양산 목표
연 10GWh 배터리셀 생산..E-GMP 기반 전용 전기차 등에 적용
현대차·LG엔솔, 지분 절반씩 보유..글로벌 전기차시장 적극 공략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현대차(005380)그룹이 LG(003550)에너지솔루션과 손을 잡고 아세안 전기자동차 시장 공략과 미래 전기차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앞줄 왼쪽)과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 사장(앞줄 오른쪽), 인도네시아 투자부 바흐릴 라하달리아 장관(뒷줄 왼쪽 화면), 인도네시아 국영 배터리 코퍼레이션(IBC) 토토 누그로호 CEO(뒷줄 오른쪽 화면) 등이 온오프라인으로 협약식에 참석했다. (사진=현대차)
현대모비스, 공장 설립·운영 핵심 역할

현대차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과 인도네시아에 연산 1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셀 합작공장 설립을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8일 열린 투자협약식에는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바흐릴 라하달리아(Bahlil Lahadalia) 인도네시아 투자부 장관 △우마르 하디(Umar Hadi)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 △박태성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 △파할라 누그라하 만수리 인도네시아 공기업부 차관 △토토 누그로호 인도네시아 국영 배터리 코퍼레이션(IBC) 최고경영자(CEO) 등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셀 합작공장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양 측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투자협약을 통해 합작공장 설립에 약 11억달러(1조 17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양측의 성공적인 합작공장 설립과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확대 지원 차원에서 일정 기간 법인세와 합작공장 운영을 위한 각종 설비 및 부품에 대한 관세 면제, 전기차 관련 세제 혜택 강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합작공장에 대한 지분은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50%씩 보유한다.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 양측은 각종 법적 절차를 거쳐 오는 3분기 중으로 합작법인 설립을 마친 뒤 4분기에 합작공장 착공에 나설 예정이다. 2023년 상반기 완공이 목표다. 2024년 상반기 내 배터리셀 양산에 돌입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셀 합작공장은 총 33만㎡(10만평)의 부지에 연간 전기차 배터리 약 15만대분 이상인 10GWh 규모의 배터리셀을 생산할 예정이다.

합작공장에서 생산하는 배터리셀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신기술을 적용해 고함량 니켈(N)과 코발트(C), 망간(M), 출력을 높여주고 화학적 불안정성을 낮춰줄 수 있는 알루미늄(A)을 추가한 고성능 NCMA 리튬이온 배터리셀이다.

이 배터리셀은 2024년부터 생산하는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모델을 비롯해 향후 개발할 다양한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배터리 시스템 생산을 담당하는 현대모비스는 이번 합작공장 설립과 운영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LG에너지솔루션과의 글로벌 협력을 강화한다.

印尼정부, 전기차 산업 육성 강력 추진

인도네시아 정부는 최근 전기차 보급 확대와 관련 산업 육성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어 각종 인센티브 확보에도 유리해 전기차 가격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연간 100만대 규모의 아세안 최대 자동차 시장인 인도네시아 시장은 물론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적극 공략할 수 있게 됐다.

아세안시장은 완성차에 대한 역외 관세가 최대 80%에 이를 정도로 관세 장벽이 높다. 하지만 아세안자유무역협약(AFTA) 참가국 간에는 부품 현지화율이 40% 이상일 경우 무관세 혜택이 주어지는 만큼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배터리셀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 기업 및 완성차 그룹 간의 첫 해외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시너지 창출을 극대화하고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을 강화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양측 간의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합작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산업 글로벌 톱티어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기술력과 당사의 오랜 기간 축적된 완성차 생산 및 품질관리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 글로벌 최고 수준의 품질을 모두 갖춘 배터리의 안정적 확보를 통해 전기차 제품 경쟁력을 제고할 것이다. 또 미래 전기차 핵심 시장이 될 아세안 지역 공략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손의연 (seyye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