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중국 사교육 금지

김환기 2021. 7. 28. 23: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의 양반이나 잘사는 사람들은 자식 교육에 신경을 많이 쓰며 아주 어릴 때부터 선생을 두어 글공부를 시키는데 이것은 이 민족이 매우 중시하는 일입니다. 아이들은 하루 종일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글을 읽습니다." 1653년 한국에 표류해 와 13년간 머물렀던 네덜란드인 헨드리크 하멜이 '조선왕국기'에 남긴 기록이다.

중국 당국이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영어·수학 등의 사교육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의 양반이나 잘사는 사람들은 자식 교육에 신경을 많이 쓰며 아주 어릴 때부터 선생을 두어 글공부를 시키는데 이것은 이 민족이 매우 중시하는 일입니다. 아이들은 하루 종일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글을 읽습니다.” 1653년 한국에 표류해 와 13년간 머물렀던 네덜란드인 헨드리크 하멜이 ‘조선왕국기’에 남긴 기록이다. 한국의 사교육이 오랜 전통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교육비는 학부모들의 ‘등골브레이커’다. 노후자금 잔액을 텅 비게 하는 주범이다. 2019년 우리나라 초·중·고생이 지출한 사교육비 총액이 21조원이고 1인당 월평균 액수가 32만원이 넘었다니 말해 무엇하랴. 학원·과외비로 월 수백만원을 쏟아붓는 부유층과 공교육에 의지하는 저소득층 자녀들이 가는 대학은 다를 수밖에 없다. ‘흙수저’가 교육을 통해 ‘금수저’가 되는 길이 거의 막힌 건 국가의 비극이다. ‘유전유학 무전무학(有錢有學 無錢無學)’ 고착화의 폐해다.

교육이 계층 이동의 수단이 된 호시절은 언제였을까. 아이러니하게도 ‘독재자’ 전두환 전 대통령 때였다. 그가 과외 금지와 내신+학력고사 위주의 대입제도를 도입한 건 교육혁명이었다. 공교육이 되살아났고 개천에서 난 용이 수두룩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1년 광복 이후 계층 간 사다리 이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과외 금지 기간에 중고교를 다닌 1961년생부터 85년생까지였다는 연구보고서를 냈다. 사교육에 관한 한 그 시절이 그리워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중국 당국이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영어·수학 등의 사교육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놨다. 취학 전 아동 대상의 온라인 수업이나 교과 관련 교육도 허용되지 않는다. 사교육이 가능한 건 체육과 문화예술 등 비교과 분야뿐이다. 사교육이 학생들의 학업 부담과 저출산의 원인으로 꼽히자 칼을 빼든 것이다. 전두환의 과외 금지 조치와 판박이다. 12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사교육 시장이 치명타를 입었다. 사교육 관련 주가는 반 토막이 났지만 중국 학부모들은 쾌재를 부르고 있을 것이다. 줄어든 사교육비만큼 그들의 노후자금 주머니는 두둑해질 테니 말이다.

김환기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