깐깐해진 안전기준 혼쭐나는 완성차들 '긴장 하세요'

손재철 기자 2021. 7. 28. 17: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이젠 안 봐준다.’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BMW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등 11개 제조·수입사들이 국토부 자동차 안전기준에 부적합 판정을 받고 과징금 62억원을 부과받았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시정조치(리콜)를 실시한 19건에 대해 해당 모델들 차량 판매 총매출액, 6개월간 시정률 등을 고려해 과징금이 매겨졌다.

■‘핀셋’으로 잡아낸다

예컨대 BMW코리아의 경우엔 ‘X5 xDrive30d’ 등 14개 차종 6136대에 등화 설치가 안전기준에 맞지 않아 과징금 10억원이 부과됐다. 아울러 ‘i8 로드스터’ 33대에는 ‘휠 표기’가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과징금이 부과됐다.

BMW X5


푸조 공식 수입사인 한불모터스는 푸조 2008 1.6 e-HDi 등 8개 차종 8154대의 내장재의 내인화성이 안전기준에 미달해 과징금 7억7100만원이 부과됐고 전기차인 ‘푸조 e-208 일렉트릭’ 10대에선 ‘센터 콘솔 잠금장치’가 없어 과징금 192만원이 부과됐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A4 40 TFSI 프리미엄’ 등 8개 차종 546대에서 좌석 안전띠 경고음이 해제 시 ‘한 번만 울리고 경고등이 꺼지는 현상’이 확인돼 전량 리콜됐고 과징금 1억8300만원이 매겨졌다.

아우디 A4


독일 3사와 차별화·고급화 경쟁을 벌여온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는 레인지로버 이보크 D150 125대와 레인지로버 스포츠 SDV6 6대의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안전기준에서 정한 ‘시간(10분) 내에 점등되지 않는다’는 지적 아래 과징금 6700만원 등이 매겨졌다.

‘지프(JEEP)’ 수입사인 스텔란티스코리아는 그랜드체로키 1070대의 후방카메라 문제로 과징금 2억9700만원을 내야한다.

해당 차종은 후방카메라 영상이 후진 기어에서 다른 기어로 변경 시 ‘10초 이내’에 꺼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리콜된 바 있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AMG C 43 4매틱’ 등 2개 차종에서 ‘전조등’ 위치가 사양에 맞지 않아 과징금이 부과됐다.

현대자동차는 ‘쏠라티 화물 밴’에서 최고속도 제한 기준이 시속 110㎞로, 안전기준에 정한 기준(시속 90㎞)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 과징금이 부과됐다.

쏠라티


혼다코리아는 총 27억5800만원의 과징금이 부과됐다.

2018∼2020년식 오디세이 등 2개 차종 3748대에서 ‘계기판에 차량 속도’가 표시되지 않았고, 2019∼2020년식 오디세이 등 2개 차종 3083대에선 차량 후진 때 2초 이내에 후방카메라 영상이 뜨지 않아 리콜됐다. 이 외 2019∼2020년식 오디세이 1753대는 후방 카메라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아 과징금 7억5800만원이 별도로 부과됐다.

포드세일즈코리아는 머스탱 216대의 후방카메라 화면에 왜곡된 이미지 등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어 과징금이 매겨졌다.

모두 강화된 ‘안전기준’에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들이다.

이처럼 국토부가 차량 안전 부분을 면밀하게 들여보고 ‘핀셋 조치’를 잇고 있는 이유는 그 만큼 자동차 제조 기술이 갈수록 고도화, 컴퓨팅(Computing)해지면서 부품과 시스템 간 연결 안전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현대차 아이오닉5




■전기차 안전은?

한편 완성차 업계 내부에선 전기차·수소차 부문에서도 고전압배터리의 제작 안전기준이 재차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실제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등록된 전기·수소차는 9만5000여대로 2017년 말(2만5278대)과 비교하면 약 3.8배로 늘었다.

이와 연계된 국내 전기·수소차 화재 발생 건수는 2019년 9건, 지난해 10건까지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전기·수소차의 전체 차량 등록 대수 대비 리콜(시정조치) 차량 비율은 62.2%까지 올랐다. 이 같은 전기차, 수소차 리콜 부문에서 가장 많이 지적받은 분야는 ‘배터리’로 급증 추세다.

손재철 기자 so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