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간 '통신선 복원' 협의, 발표 전날까지 급박하게 진행됐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남북이 27일 동시에 발표한 통신연락선 복원 발표문은 '데칼코마니'처럼 유사했다.
실제 남북은 불과 수일 전까지 정상 간 친서를 교환했고, 발표 전날인 26일에야 통신선 복원이라는 '최종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어제(26일) 남북 통신선 복원에 대한 기술적 문제를 점검했고, 개통 일시와 발표 시점을 합의했다"며 "완전한 합의는 어제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27일 동시에 발표한 통신연락선 복원 발표문은 '데칼코마니'처럼 유사했다. 양측 간 물밑조율이 촘촘히 이뤄졌다는 방증이다. 실제 남북은 불과 수일 전까지 정상 간 친서를 교환했고, 발표 전날인 26일에야 통신선 복원이라는 '최종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어제(26일) 남북 통신선 복원에 대한 기술적 문제를 점검했고, 개통 일시와 발표 시점을 합의했다"며 "완전한 합의는 어제 이뤄졌다"고 말했다. 또 "통신선이 다시 이어지게 된 것은 갑자기 이뤄진 일이 아니다. (남북이) 계속 이야기해 온 결과"라고 부연했다.
통신선 복원의 물꼬를 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친서 교환은 지난 4월 이후 수일 전까지 이뤄졌고, 그 사이 국가정보원이 북측과의 소통에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과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지난해 6월 남북 간 통신선이 끊긴 이후에도 별도 채널을 통해 북측과 꾸준히 소통해 왔다. 이를 통해 통신선 복원에 대한 실무적 협의와 구체적인 발표 시점 등을 논의해온 셈이다.
남북 정상은 지난 4월 27일 '판문점선언 3주년'을 계기로 수차례 친서를 교환하며 남북대화 채널 복원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왔다. 정부 움직임은 5월 22일 한미정상회담을 전후로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비대면 남북 회담' 방안 등을 담은 친서를 보내면서 속도가 붙었다. 이와 관련해 박지원 국정원장은 지난달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남북 간 최근 의미 있는 소통이 이뤄졌다"고 보고한 바 있다.
통신선 복원 협의는 친서가 오간 지 3달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다만 급박한 전개 탓에 미국과의 사전 조율은 충분한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외교 당국은 남북 통신선 복구 발표 직전에야 미국에 관련 내용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반도 주요 상황과 관련해 동맹으로서 한미는 긴밀한 소통을 이어오고 있다"고만 밝혔다.
통일부와 군 당국은 이날 통신선 복원 후 북측과 오전과 오후 각각 한 차례씩 통화했다. 통일부 남측 연락대표는 오전 11시 4분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 설치된 직통전화로 "온 겨레에 기쁜 소식을 계속 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군 통신선에서는 북측이 먼저 걸어 왔다. 북측은 "통화 음질이 어떻냐"고 물은 뒤 시험용 팩스를 보냈다.
김민순 기자 soon@hankookilbo.com
조영빈 기자 peoplepeopl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7년 사귄 코치의 '깜짝 청혼'에 패배를 잊었다
- 조병규 측 "학폭 주장 네티즌, 허위사실 시인하고 사과"
- '유도 싹쓸이 목표'한 일본 앞길 두 번 막은 '코소보'
- [단독] 성북구, 전광훈 목사 이끄는 사랑제일교회 '시설 폐쇄' 착수
- 뼈와 살이 으스러진 외상, 마음속 사망진단서 썼던 그가 살아왔다
- 김 빠져도, 톡 쏴도 난리… 이재명의 '사이다 화법' 딜레마
- ‘수영 황제’ 드레슬의 손에 감긴 스카프...가슴 찡한 사연 담겼다
- '열일곱 신궁' 김제덕 만든건 "이름 세글자 남긴다" 다짐
- 황선우, '100m 49초' 듣자… "와, 이걸로도 만족할래요"
- 한국 잘 몰랐던 피카소는 왜 '6·25 전쟁'을 화폭에 담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