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길어 보여"..블랙핑크 제니도 즐겨입는 '배꼽티' 동났다

오정민 2021. 7. 28. 07: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블랙핑크 멤버 제니와 트와이스의 모모가 무대 안팎에서 즐겨 입고, 남성 아이돌 엑소의 카이, 샤이니의 태민까지 입고 무대 위에 섰다.

1980~1990년대 유행했던 크롭트톱(배꼽티)의 귀환이다.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소속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가 선보인 2022년 봄·여름(S/S) 남성복 패션쇼에는 복근을 드러내는 짧은 길이의 크롭트톱과 여유있는 핏의 바지를 매치한 남성 모델이 무대를 선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레트로 바람 탄 '크롭트톱의 귀환'
에슬레저룩·젠더리스룩 확산에 남성복에서도 등장
사진=블랙핑크 제니 SNS


블랙핑크 멤버 제니와 트와이스의 모모가 무대 안팎에서 즐겨 입고, 남성 아이돌 엑소의 카이, 샤이니의 태민까지 입고 무대 위에 섰다. 1980~1990년대 유행했던 크롭트톱(배꼽티)의 귀환이다.

28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크롭트톱이 최근 자리잡은 레트로(복고) 열풍을 타고 돌아왔다. 

무대 위뿐 아니라 거리에서도 크롭트톱을 입은 이른바 '인싸(인사이더·인기가 많고 활발한 사람)'를 심심찮게 만나볼 수 있다. 레트로 유행과 함께 통이 넓은 와이드팬츠, 조거팬츠, 롱 스커트 등 다양하게 매칭한 점이 특징이다. 크롭트톱을 입으면 경쾌한 느낌을 주고 다리가 길어 보이는 효과가 있어 '패셔니스타'에게 인기가 많다.

트와이스 /사진=JYP엔터테인먼트


패션 브랜드들도 유행에 맞춰 짧은 상의를 내놔 호응을 얻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에 따르면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겨냥한 온라인 전용 브랜드 '브플먼트'에서 여름 상의 제품의 90%를 짧은 기장으로 출시, 대다수가 출시 직후 동이 나 재생산에 들어갔다.

'배꼽티'만 있는 게 아니다. 여성복 브랜드 보브(VOV)는 올 봄 재킷, 점퍼 등 크롭트 아우터 12종류의 크롭트 아우터를 선보였다. 이 가운데 9종의 초도물량이 완판, 재생산에 들어갔다. 스튜디오 톰보이가 출시한 크롭 반팔 후드티셔츠, 레터링 반팔 티셔츠도 판매율이 80% 이상이다.

사진=태민 '이데아 (IDEA:理想)' 뮤직비디오 캡쳐


올해 크롭트톱은 운동복과 평상복의 경계를 허문 애슬레저(애슬레틱+레저)룩과 결합해 한층 인기를 얻고 있다. 트랙수트가 주력 제품인 '쥬시 꾸뛰르'의 경우 이달 초 출시한 크롭트톱과 조거팬츠 세트 구성 제품이 완판돼 2차 주문 물량이 다음달 입고될 예정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메가 트렌드인 레트로가 이어지면서 매 시즌마다 과거에 유행했던 대표 디자인들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올해는 건강과 운동에 대한 중요도가 부각되면서 원마일웨어, 애슬레저룩이 진화한 형태의 크롭트톱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펜디 2022 S/S 남성 패션쇼. 펜디 홈페이지


특히 성(姓)의 구분이 없는 ‘젠더리스’가 패션의 한 축으로 자리잡으면서 남성용 크롭트톱까지 확산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명품 브랜드에서도 남성용 크롭트톱을 선보였다.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소속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가 선보인 2022년 봄·여름(S/S) 남성복 패션쇼에는 복근을 드러내는 짧은 길이의 크롭트톱과 여유있는 핏의 바지를 매치한 남성 모델이 무대를 선보인다.

패션디자이너인 간호섭 홍익대 미술대학 교수는 "젠더리스 트렌드는 패션과 뷰티업계에서 최근 몇 년간 한 축으로 자리잡았고, 앞으로도 전방위로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