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오간 남북 정상 친서..냉랭했던 한반도 다시 녹였다
통신선 복원 결정적 역할
코로나·폭우 등 내용 담겨
남북이 27일 13개월여 만에 통신연락선 복원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남북 정상 간 3년 넘게 주고받은 친서로 쌓인 신뢰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청와대 설명을 보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4월 말부터 최근까지 여러 차례 문서로 된 친서를 교환했다.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3주년이 계기였다. 2018년 문재인 정부 들어 첫 남북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은 ‘4·27 판문점 합의’를 이끌어냈다. 남북관계가 희망적이던 시기를 화제 삼아 정상 간 호의적인 논의가 오갈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단절된 통신연락선 복원도 친서 교환 과정에서 결정됐다. 양 정상이 친서를 통해 꽉 막힌 남북관계를 회복하는 문제를 논의해오다 우선 통신선부터 복원하자고 합의했다는 것이다. 그간 통신선 연결과 단절은 향후 남북관계 전망에 주는 의미가 컸다는 면에서 꾸준한 정상 간 친서 교환이 남북관계 국면을 전환시켰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이날 남북은 모두 연락선 복원이 앞으로 남북관계 개선과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두 정상은 이전에도 친서를 통해 남북관계에서 결정적인 장면을 만들어왔다. 김 위원장은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방한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통해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요청하는 친서를 보냈다. 지난해 남북관계가 경색 국면일 때도 코로나19 극복 등을 화제로 친서를 주고받았다.
이번 친서에서는 구체적인 남북관계 현안이 논의되지는 않았지만 코로나19, 남부지방 폭우 등에 대한 얘기가 오갔다고 전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현재 코로나19로 남북 모두가 오래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서 하루속히 이를 극복해 나가자고 서로 간에 위로와 걱정을 나눴다”고 공개했다. 문재인 정부가 코로나19를 매개로 북한과의 협력을 강조해온 만큼 향후 코로나19 관련 남북 보건·방역 협력이 가능하리라는 기대감이 나오는 대목이다. 다만 청와대는 친서에서 보건·의료 분야 협력은 논의된 바 없다며 “구체적 의제는 다시 열린 대화 통로를 통해 앞으로 협의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두 정상 간 대면·비대면 만남이나 핫라인 통화에 대한 논의도 없었다고 한다. 향후 남북관계 진전은 꾸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다음달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 등 남북 간 첨예한 사안이 쌓여 있다.
정대연 기자 hoa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방적으로 통신선 끊었던 북한, 왜 다시 연결했나
- 여 “한반도 관계 청신호” 환영…야 “일방향 소통 안 돼” 우려도
-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두 정상 “관계 개선 기대”
- 통신선 복원 합의...관계 변화 모색하는 남북
- 공군 대령, ‘딸뻘’ 소위 강간미수···“유혹당했다” 2차 가해
- 김재섭, 윤석열-명태균 통화에 “부끄럽고 참담···대통령실 해명 누가 믿냐”
- [스경X이슈] ‘나는 솔로’ 23기 정숙, 하다하다 범죄전과자까지 출연…검증 하긴 하나?
- 친윤 강명구 “윤 대통령, 박절하지 못한 분···사적 얘기”
- 70대 아버지 살해한 30대 아들 경찰에 자수…“어머니 때려서” 진술
- [한국갤럽]윤 대통령 지지율 19%…20%대 첫 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