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장기'에 생기는 염증..자각 어려워 예방이 최선인 이 질병은?

이승구 2021. 7. 27. 16: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8일 '세계 간염의 날' 맞아 간염의 종류·원인·예방법 알아보기
A형·B형·C형으로 분류..A형, 오염된 물·음식 등에 감염되는 질병
'급성'이 많고 자연치유 가능..치료제 없어 평상시 예방이 중요
B·C형 간염, 만성이 대부분..초기증상 없어 빠른 진단만이 최선
B형 간염, 성접촉·혈액 등 감염..걸리면 평생 치료제 복용 필요
C형 간염, 자각증상 잘 안 나타나..치료제 개발돼 완치율 98%
간염. 게티이미지뱅크
 
간세포가 파괴돼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인 ‘간염’.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고 6개월 이상 지속하는 경우 ‘만성 간염’으로 분류한다. 근원적인 원인으로는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간염이 제일 많은데, 한국인에게는 특히 A형과 B형이 많다.

간은 전체의 80%가 손상돼도 간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침묵의 장기’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 때문에 간염에 대해서 평소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7월28일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간염연합이 제정한 ‘세계 간염의 날’이다. 이 날은 간질환과 간세포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10년 WHO 총회에서 제정됐다. 세계 간염의 날을 맞아 간염의 종류와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26일 녹십자의료재단에 따르면 간염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A형, B형, C형 간염으로 나뉜다. 

A형 간염은 주로 급성 간염의 형태로 나타나고 후유증 없이 자연치유 되지만, 고령이나 만성 간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급속도로 악화돼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B형과 C형 간염은 제 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으로 진행하며 ‘간암’으로도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한국인 전체 급성 간염의 70%에 해당하는 A형 간염은 대표적인 수인성 감염병 중 하나다. 주로 A형 감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 등을 섭취하거나, 감염 환자와 밀접 접촉하면서 감염된다.

최근 국내에서는 위생 수준이 향상되면서 어린 시절 A형 간염 바이러스 노출 기회가 적었던 20~40대에서 A형 간염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16년 4679명에 불과했던 A형 감염 확진자는 2019년 1만7598명까지 급증했다. 올 들어서는 3월부터 수도권과 충청 지역 등을 중심으로 A형 간염 환자 발생 증가세가 다시 두드러지고 있다.

간염. 게티이미지뱅크
 
A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평균 28일의 잠복기를 거쳐 피로감이나 메스꺼움과 구토, 발열, 식욕부진, 우측 상복부의 통증 등 일차적인 전신증상이 나타난다. 그 후 일주일 이내에 콜라색의 소변과 탈색된 대변, 전신이 가려운 증상 등과 함께 특징적인 황달 징후가 나타난다. 보통 황달은 2주 정도 지속되며 이전에 나타났던 전신증상은 사라지게 된다. 

A형 간염은 채혈을 통한 항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A형 간염은 아직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6~12개월 간격으로 백신을 2회 접종하면 95% 이상의 간염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개인위생 관리도 중요하다. ▲안전성이 확인된 조개젓 섭취 ▲조개류 익혀먹기 ▲요리 전, 식사 전, 화장실 다녀온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안전한 물 마시기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등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B형 간염과 C형 간염은 급성 질환자보다 만성 환자가 더 많고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 등 체액에 의해 감염된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우리나라 인구의 3~4%로 추정될 정도로 국내 간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어린 시절 감염될 경우 만성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특히 B형 간염이 있는 어머니로부터 아이가 전염되는 수직감염이 가장 중요한 감염경로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성접촉이나 혈액에 의해서도 감염된다. 

급성 B형 간염의 경우 황달, 심한 피로감, 식욕부진, 흑색 소변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만성 B형 간염은 생활에 큰 불편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방치하다가 간이 70% 이상 손상된 이후 치료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되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도 발전 가능하다.

간염. 게티이미지뱅크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HBV surface antigen)을 검출하는 혈액검사를 통해 바이러스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간 기능 검사 등 다른 혈액검사를 통해 간염의 중증도를 확인하게 된다. 

B형 간염은 항바이러스제가 존재하지만 근본적으로 바이러스를 제거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는 평생 치료제를 복용해야 한다. 그렇기에 B형 간염도 A형과 마찬가지로 백신 접종을 통한 감염 예방이 권장된다. 백신은 6개월 동안 3회에 걸쳐 접종한다.

C형 간염의 경우 우리나라 인구의 0.8~1.4%가 바이러스 보유자로 추정되며 전파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렇지만 감염될 경우 자연회복률이 낮아 70~80%의 환자가 만성 감염으로 진행된다. 이 중 20~30%는 간경변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B형 간염과 마찬가지로 혈액 등 체액으로 전염되지만 수직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C형 간염은 감염 후 약 2주간 잠복기를 거치는데, 이 중 60~80%는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다. 대부분 간 기능이 80% 이상 손상돼야 자각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C형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anti-HCV Ab)나 C형 간염 바이러스의 RNA를 검출하는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A형, B형 간염과 달리 백신은 없지만 다행히도 완치율이 98%로 매우 높은 치료제가 개발돼 있기 때문에 꾸준히 약을 복용하면 완치할 수 있다.

송성욱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간은 간 전체의 80%가 손상돼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침묵의 장기’이기 때문에 자신이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간염을 방치할 경우 간경변이나 간암 등 심각한 건강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꾸준한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