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대 이지훈 교수, 'MDPI Nanomaterials' Special Issue 총괄 에디터 선정

권태혁 기자 2021. 7. 14. 13: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운대학교는 최근 이지훈(사진) 전자공학과 교수가 MDPI 출판그룹의 국제저널 학술지인 Nanomaterials(IF: 5.076)의 특별판인 'Special Issue on Nanotechnologies and Nanomaterials: Selected Papers from CCMR'의 총괄 에디터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MDPI Nanomaterials는 SCI/E(JCR Q1 Category, IF 5.076) 인덱스 저널로 나노물질 분야와 관련된 정기 연구논문 및 리뷰 등을 출판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운대학교는 최근 이지훈(사진) 전자공학과 교수가 MDPI 출판그룹의 국제저널 학술지인 Nanomaterials(IF: 5.076)의 특별판인 'Special Issue on Nanotechnologies and Nanomaterials: Selected Papers from CCMR'의 총괄 에디터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MDPI Nanomaterials는 SCI/E(JCR Q1 Category, IF 5.076) 인덱스 저널로 나노물질 분야와 관련된 정기 연구논문 및 리뷰 등을 출판하고 있다.

이 교수는 특별판인 'Special Issue on Nanotechnologies and Nanomaterials: Selected Papers from CCMR'(이하 Nanomaterials 특별판)에 제출된 논문을 검토하고, 논문의 동료평가(peer review) 여부 및 리뷰 과정을 총괄하면서 최종적으로 논문의 게재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리게 된다.

이번 Nanomaterials 특별판 나노기술 및 나노물질: CCMR에서 선택한 논문은 MDPI 출판그룹과 CCMRCollaborative Conference on Materials Research) 국제재료 학회가 협약을 맺고 출판 중에 있다.

이번 특별판에는 '나노기술 및 나노물질'과 관련 CCMR 학회에서 승인된 논문이 포함될 예정이다. 선정된 논문에는 탄소 나노 튜브, 그래 핀, 금속, 산화물 재료, 폴리머, 분자, 나노 입자, 나노 와이어, 양자점 등을 포함한 모든 구성 및 형태의 나노 물질의 성장 및 특성화, 응용이 포함된다.

이 교수는 내년 9월까지 특별판 총괄 에디터직을 수행한다. 이번 Nanomaterials 특별판에는 현재까지 10여 편의 논문이 영국, 노르웨이, 그리스, 대만, 스웨덴, 중국, 한국, 일본, 방글라데시, 태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게재됐다. 현재는 전 세계 여러 국가의 연구자들의 다양한 '나노기술 및 나노물질' 관련 논문을 심사 중이다.

이 교수는 "이번 Nanomaterials 특별판에 에디터로 참여해 영광"이라며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차세대 ICT 유망분야인 나노물질·디바이스 응용 연구에 광운대의 위상과 인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그는 미국 아칸소 주립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140여 편의 SCI JCR 상위 rank 논문을 출판하고 있다.

연구 분야로는 에너지 효율성이 높으며 성능이 우수한 에너지 소재, 메타표면 기반의 다양한 나노소재, 광전자 디바이스 및 시스템 기술 연구 등이다.

또한 Springer 출판사의 Nanoscale Research Letters (SCI IF: 4.703) 저널에 Assistant Editor(2010~2018)직을 역임했다.

이외에도 Nanoscale Research Letters의 Editorial Board(2018~현재)직을 비롯해 다양한 국제저널의 Guest Editor직도 수행 중이다.
국제 컨퍼런스의 다양한 커미티 및 오거나이즈 직도 맡고 있으며 Advanced Materials (IF 30.849),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8.808), Nano Energy (IF 17.881), Nanoscale (IF: 7.79)지외에 30여 SCI 저널지의 리뷰어로도 지난 20여년간 활동해왔다.

[관련기사]☞ "하준수, 사실혼 상태에서 안가연과 외도"…전 여친 동생 '분노'"너도 걸려봐" 선별진료소 직원 껴안고 행패 부린 방역 빌런24년 전 유괴된 아들, 50만㎞ 달린 中 아버지…"찾았다""아파트단지서 벨트 풀었다가 과태료…과잉단속 아닌가요?""친오빠에게 성폭행 당했는데…여전히 함께 살아요"
권태혁 기자 webmaster@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