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만난세상] 영어학원, 부모찬스, 공정사회

송민섭 2021. 7. 5. 23: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쉬는 시간 나는 상당히 뻘쭘하다. 말을 걸기도 그렇고 그냥 멀뚱히 앉아있자니 내가 너무 비참해지는 것 같다.'

아내와 나는 '영어 공부 시키려다 애 잡겠다'며 다음날부터 학원을 보내지 않았다.

이것만이 남들 다 보내는 영어학원을 끊은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쉬는 시간 나는 상당히 뻘쭘하다. 말을 걸기도 그렇고 그냥 멀뚱히 앉아있자니 내가 너무 비참해지는 것 같다.’

중학생 딸이 1년여 다녔던 영어학원을 더 이상 가지 않게 된 계기다. 최근 몇 년 만에 다시 써 본 일기라며 멋쩍게 건넸다. 아이는 평소에도 아는 친구는 거의 없고, 내주는 숙제는 엄청 많은 학원에 가기 싫다고 징징대곤 했다. 하지만 이 정도로 심각한지는 전혀 몰랐다. 아내와 나는 ‘영어 공부 시키려다 애 잡겠다’며 다음날부터 학원을 보내지 않았다.
송민섭 사회2부 기자
이것만이 남들 다 보내는 영어학원을 끊은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딸은 나름 공부 욕심과 지각머리가 있는 친구라고 믿는다. 고입과 대입, 심지어 취업시장에서 영어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이 친구가 더 잘 알고 있으리라. 딸이 현 생활에 안주할 것 같으면 엄마 친구 딸의 실패담, 영어 전공자인 아빠의 경험 몇 마디를 보태면 된다. 친한 친구들이 다니는 어느 학원에 보내달라고 졸라댈 게 분명한 캐릭터다.

영어 사교육에 대한 개인적 불신도 한몫했다. 외국어를 학습(Learning)이 아닌 습득(Acquisition)하기까지는 완벽한 외국어 환경에서도 최소 7개월이 필요하다는 게 대학 시절 주워들은 지식 중 하나다. 7개월×30일×18시간(수면시간 제외)이면 3780시간이 필요한데 일주일에 6시간씩 학원을 다닌다 해도 13년이 필요하다. 이마저도 13년 내내 계속해 영어만 듣고, 말하고, 익힌다는 가정에서 그렇다.

학원들의 ‘불안마케팅’에 속아 한 달에 30만∼50만원씩 쏟아붓느니 차라리 1∼3년 어학연수를 보내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대입에서 영어 A등급이 과연 초·중·고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면 받을 수 있는 점수일까라는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취업지원 때 으레 내는 어학성적은 지원자의 영어실력보다는 그만큼의 점수를 얻도록 힘을 보탰을 부모의 ‘스펙’을 보는 것이라는 삐딱함도 작용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공정한 경쟁’ 담론이 내심 불편한 이유는 이 때문이다. 수능이 그렇듯이 영어 또한 인풋(input) 수준에 따라 아웃풋(output)이 극명하게 나뉜다. 부모의 영향력이 워낙 커 경쟁의 출발선에서부터 기울어져 있다. 응시 기회나 시험 절차가 공정했다고 해서 나타난 결과가 실력대로 이뤄졌다고 말할 수 없다. 과정의 균등(equality)은 결코 결과의 공정(equity)과 동의어가 아니다.

“열악한 환경에서도 필사의 ‘노오력’ 끝에 일정 수준의 실력을 갖춘 학생들은 어떻게 설명하지?” “상류층 부모만큼 지원을 못해줘 경쟁에서 뒤처질 게 뻔하다고 너는 자식 교육을 포기할 거니?” 딸 영어교육에 대한 조언을 구하고 ‘공정 사회’에 대한 20대 생각도 들을 겸 연락한 대학 동기 겸 교수가 툭 던진 말이다. ‘수저론’이 비판에는 유용하지만 대안까진 제시하진 못한다는 얘기였다.

세상만사가 물려받은 것(Nature)과 노력한 것(Nurture)의 합작품인 것 같다. 유전적 요인이 능력발현의 구간을 정하면 후천적 요인에 따라 최대치가 나타날 수도, 최저치에 머물 수도 있다. 공정사회 지향점도 그렇다. 출신·가족 변수를 최소화하고 교육·환경 요인을 최대화하자는 것 아닌가. 오랜 논란 끝에 영어교과가 대입에서 절대평가화했듯이, 공정경쟁이란 시대적 화두가 보다 나은 사회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송민섭 사회2부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