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앞에 선 장애, 장애 앞에 선 예술

2021. 6. 28. 21: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애가 있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만날때면 으레 쓰는 수식어가 있다.

'길은 너무나 길고 종이는 조그맣기 때문에'라는 제목의 전시는 발달장애 작가 16인과 정신장애 작가 6인 등 22인의 작품을 한 데 모았다.

작가는 작업 할 때면 캔버스앞 10센치미터까지 얼굴을 가까이 댄다.

장애와 비장애를 걷어내고 작품 그 자체로 관객앞에 선다는 것은 프로페셔널한 작가로서 첫 발을 떼는 것이기도 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 북서울
'길은 너무나 길고 종이는 조그맣기 때문에'전
발달장애 16인·정신장애 작가 6인 등 22인 참여
내면에 몰두한 독창적 창작세계 한 자리에
김동현, 랍국지하철, 2011, 종이에 펜, 색연필, 74x80cm [사진제공=서울시립미술관]

[헤럴드경제=이한빛 기자] 장애가 있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만날때면 으레 쓰는 수식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재적인 예술성', '장애를 극복하다'. 감동적 서사는 아우라를 만들어 낸다. 그러나 오히려 이같은 언어가 작가들의 작업세계를 눈가림 하는 것은 아닐까?

창작 그 자체를 들여다보는 전시가 서울시립미술관 북서울에서 열린다. '길은 너무나 길고 종이는 조그맣기 때문에'라는 제목의 전시는 발달장애 작가 16인과 정신장애 작가 6인 등 22인의 작품을 한 데 모았다. 전시를 기획한 김효나 '밝은방'기획자는 "창작 내용이나 행위본질과 상관없이 의미를 부여하고, 신화화 되는 것을 경계하며 전시를 기획했다. 작가들의 목소리를 충분히 들을 수 있고 창작 그 자차게 보여지도록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오영범, 무제, 2019, 종이에 오일 스틱, 72.9x60.6cm [사진제공=서울시립미술관]

시각장애와 청각장애가 함께 있는 오영범 작가는 독특한 색면추상 작업을 선보인다. 작가는 작업 할 때면 캔버스앞 10센치미터까지 얼굴을 가까이 댄다. 그래야만 색이 보이기 때문이다. 손을 뻗어 캔버스의 끝을 확인하고 그곳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한다. 전체적인 포션을 보는 것이 아니고 오일스틱으로 드로잉을 계속 이어가며 작업한다.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선의 중첩으로 완성된다.

전시제목인 '길은 너무나 길고 종이는 조그맣기 때문에'는 이같은 작가들의 작업과정을 닮았다. 길은 전시에 참여하는 발달장애 및 정신장애 작가들의 삶과 일상을, 종이는 이들의 창작을 은유한다. 실제 제목은 김동현(28)작가와 기획자의 대화에서 나왔다. 구불거리는 길이 가득한 커다란 지도를 반복해서 계속 그리는 그의 작업을 놓고 "길이 왜 다 구불거리느냐"는 질문에 작가는 "길은 너무 길고 종이는 조그맣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캔버스는 커다란 작품세계를 담아내는 아주 작은 그릇인 셈이다.

김진홍, 그림자의 그림자의, 2017, 종이에 색연필, 39.6x54.6cm [사진제공=서울시립미술관]

전시는 크게 '일상성', '가상세계의 연구', '기원과 바람', '대중문화의 반영', '노트작업'으로 분류된다. 산책, 그림자, 지하철 노선도 등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일상적 소재와 재료로부터 놀라운 독창성을 끌어내는 창작의 풍경(일상성, 김진홍·김동현·정종필)을 선보이거나, 가상의 생명체나 캐릭터를 창조하고 그들이 활동하는 세계 규현에 몰입하는 경우(가상세계의 연구, 김경두·김치형·정진호·한승민)도 있다. 기원과 바람이 창작의 주요 원동력인 작품군(기원과 바람, 윤미애·조유경·나정숙·배경욱·고주형·박범), TV프로그램이나 인터넷 등 대중문화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작가들(대중문화의 반영, 한대훈·홍석환·장형주)도 있고, 아주 작은 단위를 계속 반복해 쌓아가듯 형상을 만들어내는가 하면(픽셀, 김현우·김재형), 대담한 색면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작가들도 있다(색면회화, 오영범·이찬영). 마지막으로 창작 세계의 근원인 작가 노트가 모여있는 (노트작업, 진성민·양시형)섹션도 눈길을 끈다.

장애와 비장애를 걷어내고 작품 그 자체로 관객앞에 선다는 것은 프로페셔널한 작가로서 첫 발을 떼는 것이기도 하다. 창작을 하지 않고는 하루도 살 수 없을, 이미 일상이 되어버린 작가들에겐 사실 이같은 구분이 무의미하다. 지칠줄 모르는 몰입과 쌓아올린 테크닉 앞에선 그저 작가의 작업만이 보인다. 백지숙 서울시립미술관장은 "물리적 한계를 넘나드는 창작자의 몰입세계를 느끼고 나눌 수 있기를 바란다"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구분짓지 않고 사용자, 생산자, 매개자의 다양한 주체로 환대하며 미술관을 통해 모두가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vicky@heraldcorp.com

김재형, 무제, 2017, 종이에 스티커, 43x67.5cm [사진제공=서울시립미술관]

vick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