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사라진 '中 격대지정'

파이낸셜뉴스 2021. 6. 28. 18: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달 1일 창당 100주년을 맞은 중국 공산당.

중국은 '민주집중제'란 명분으로 70여년 1당체제를 고수했다.

그는 7월 1일 창당 100주년을 앞두고 26일 베이징 중난하이 마오의 옛 집무실을 찾았다.

1당 독재에 시장경제를 접목한 중국식 사회주의가 빈부격차를 벌리고 있는 것도 변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서 방문객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 톈안먼 광장이 7월 1일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행사에 대비해 23일부터 일반인 출입을 통제한다고 시 관계자가 밝혔다. /사진=뉴시스
내달 1일 창당 100주년을 맞은 중국 공산당. 세계 최장수 집권당이다. 중국은 '민주집중제'란 명분으로 70여년 1당체제를 고수했다. 다만 지도체제는 죽을 때까지 1인독재를 했던 마오쩌둥 사망 이후 그 이전에 비해 크게 달라졌다. 1978년 개혁·개방의 깃발을 든 2세대 최고지도자 덩샤오핑이 집단지도체제를 지향하면서다.

덩은 마오식 종신 1인 지배의 폐해를 몸소 겪은 인물이다. 그래서 권력을 잡은 뒤 이를 막기 위한 각종 장치를 고안했다. 현 최고지도자가 한 대를 건너뛰어 차차기 지도자를 후계자로 육성하는 '격대지정' 관례를 세운 게 대표적이다. '7상8하', 즉 당 중앙위 정치국 상무위에서 67세는 유임하고 68세는 은퇴하는 원칙도 마찬가지다. 이를 통해 국가주석직 연임 임기제를 정착시키고 고위직의 젊은 피 수혈 통로를 확보했다.

그러나 5세대 지도자 시진핑 국가주석 집권 이후 마오 시대로 회귀하는 인상이다. 2018년 개헌을 통해 '국가주석직 3연임 제한' 조항을 삭제한 게 그 방증이다. 후진타오 주석 시절 격대지정을 통해 후계자 반열에 올랐던 그가 덩의 유훈을 저버린 셈이다. 이후 뚜렷한 후계자 감이 거론되지 않은 배경이다.

시 주석은 2022년 당대회에서 69세가 된다. 하지만 그가 최소한 3연임 의지를 기정사실화하면서 '7상8하' 관행도 폐기되는 분위기다. 그는 7월 1일 창당 100주년을 앞두고 26일 베이징 중난하이 마오의 옛 집무실을 찾았다. 그의 27년 통치 현장에서 장기집권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물론 시 주석이 걸으려는 '마오의 길'이 탄탄대로만은 아니다. 우선 덩의 '도광양회'(어둠 속에서 힘을 기른다) 유지를 버리고 '중화굴기'를 선언했지만, 미국과 서구권 국가들의 견제도 만만찮다. 1당 독재에 시장경제를 접목한 중국식 사회주의가 빈부격차를 벌리고 있는 것도 변수다. 이에 따른 대중의 불만을 언론통제로 틀어막는 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