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길에 핀 詩.."외로운 간이역도 모두 인생역" [고두현의 문화살롱]

고두현 2021. 6. 26. 00: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화륜거 구르는 소리는 우레와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 수레 속에 앉아 영창으로 내다보니 산천초목이 모두 활동하여 닫는 것 같고,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더라.'

1899년 9월 18일 국내 최초의 경인선 철도가 개통된 다음날 독립신문에 실린 시승기의 한 대목이다.

1905년 경부선 개통 뒤 그는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 소리에/남대문을 등지고 떠나 나가서/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 같으니/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경부철도가')라고 노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기찻길의 인문학
120년 전 첫 경인선 시속은 20km
당시엔 "나는 새도 못 따를 속도"
이젠 20배 더 빠른 초고속 시대
희망은 늘 한 발짝 늦게 오지만
아직 마지막 기차는 남아 있네..
고두현 논설위원
1899년 개통한 경인선 열차.

‘화륜거 구르는 소리는 우레와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 수레 속에 앉아 영창으로 내다보니 산천초목이 모두 활동하여 닫는 것 같고,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더라.’

1899년 9월 18일 국내 최초의 경인선 철도가 개통된 다음날 독립신문에 실린 시승기의 한 대목이다. 사실을 전하는 기사이지만 표현이 문학적이다. 증기기관차를 처음 접했으니 바퀴 구르는 소리가 ‘우레’ 같고, 빠르기는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더라’고 할 만했다.

기차가 노량진에서 인천까지 도착하는 데에 걸린 시간은 1시간30분, 평균속도는 시속 20㎞였다. 걸어서 12시간이 넘게 걸리던 것에 비하면 엄청난 ‘혁명’이었다. 최남선도 기차 속도를 새와 비교했다. 1905년 경부선 개통 뒤 그는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 소리에/남대문을 등지고 떠나 나가서/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 같으니/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경부철도가’)라고 노래했다.


이때의 ‘남대문’은 지금의 서울역을 말한다. 한동안 ‘남대문정거장’으로 불리다가 1925년 원형 돔 건물이 들어서면서 경성역으로 바뀌었다. 국내 첫 양식당인 2층 그릴과 티룸(다방)까지 들어서 문학 작품의 배경에도 자주 등장했다. 이 그릴은 이상의 소설 ‘날개’에 돈이 없어도 꼭 머물고 싶은 꿈의 공간으로 나온다.

경인선과 경부선에 이어 경의선, 호남선, 경원선, 장항선, 중앙선이 잇따라 개통되면서 철도와 관련된 사연은 갈수록 늘어났다. 1937년에 개통된 수인선(수원~인천)은 폭이 좁은 협궤열차여서 더욱 많은 이야깃거리를 낳았다. ‘꼬마 열차’로 불린 수인선은 군자염전의 소금과 소래포구의 해산물을 부지런히 실어 날랐다. 소래철교 등 일부 구간에서는 갯벌과 염전이 손에 잡힐 듯 가까웠다. 그 길을 타고 통학생과 좌판 아주머니들이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오고 갔다.

신경림 시인은 ‘군자(君子)에서’라는 시에 ‘협궤열차는 서서/기적만 울리고 좀체 떠나지 못한다//승객들은 철로에 나와 앉아/봄볕에 가난을 널어 쪼이지만/염전을 쓸고 오는/바닷바람은 아직 맵차다’고 썼다. ‘석탄연기를 내뿜으며 헐떡이는/기차에 뛰어올라 숨을 몰아쉬면//나는 안다 많은 형제들의 피와 눈물이/내 등 뒤에서 이렇게 아우성이 되어/내 몸을 밀어내고 있는 것을’(전문 그래픽 참조).

이가림 시인의 ‘소금창고가 있는 풍경’에도 염전과 수차(水車)가 나온다. ‘시커먼 버팀목의 부축을 받으며/간신히 버티고 서 있는 소금창고와/버려진 장난감 놀이기구 같은 수차가/시들어가는 홍시빛 노을을/망연히 바라보고 있을 뿐/마른 뻘밭에 엎드린/나문재들의 흐느낌 소리를/엿듣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김수영 시인은 ‘간이역’이라는 시에서 외진 시골역을 인생역에 비유했다. ‘기차는 아직 오지 않았다’로 시작하는 이 시에서 그는 ‘부드러운 능선 위로/갑자기 쏟아지는 붉은빛’과 ‘지는 해가 따가운 듯/부풀어오르는 뭉게구름’을 보며 ‘한때나마 나도/누구에게 뜨거운 사람이었는가’를 자문한다. 그러면서 ‘지나간 일조차/쓰리고 아플 때에는/길 위가 편안하리라’며 다시금 ‘기차를 기다린다’고 했다.

이런 삶의 순간이 모여 역사가 된다. 120여 년 전 시속 20㎞였던 기차는 이제 20배 속도로 질주하고 있다. 빛의 속도로 달리는 광속시대에도 희망은 늘 한발짝씩 늦곤 한다. 그러나 우리 앞에는 아직 오지 않은 열차가 남아 있다. ‘여기서부터, -멀다/칸칸마다 밤이 깊은/푸른 기차를 타고/대꽃이 피는 마을까지/백 년이 걸린다’(서정춘 ‘죽편’)는 시처럼 오래 걸리더라도 ‘대꽃이 피는 마을까지’ 가는 ‘푸른 기차’가 남아 있는 한 인생은 그래도 살 만하다. 앞날이 마냥 어둡지만도 않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