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 위에 꽃 핀 사랑과 헌신.."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이청초 2021. 6. 25. 21: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춘천] [앵커]

한국전쟁 직후 폐허로 변한 강원도 춘천을 찾아와 60년 넘게 사랑과 헌신을 보여준 외국인들이 있었습니다.

바로 아일랜드에서 온 수녀들이었는데요.

오늘(25일) 춘천에선 이들을 기억하자는 기념비가 제작됐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1955년 강원도 춘천의 죽림동성당 모습입니다.

전쟁의 포화 속에 폐허로 변했습니다.

가난과 질병이 만연했지만, 당시 춘천엔 병원 하나 없었습니다.

지구 반대편에서 이 소식을 접한 아일랜드의 성골롬반 수녀회가 돕겠다며 이역만리 낯선 땅 춘천으로 달려왔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성골롬반의원을 세웠고, 2004년에는 호스피스 병원을 추가로 만들었습니다.

한국의 의료수준이 높아지면서, 2011년 성골롬반의원이 문을 닫을 때까지 가난한 이들에 대한 무료 진료를 계속했습니다.

[이은숙/성 골롬반의집 노인전문요양원 간호사 : "'아픈 사람을 위해서 해야되는 태도, 행동이구나' 내가 간호사로서 주사 하나 찔러주는 게 중요한 게 아니고, 그 밖에 소양들, 이런 것들이 되게 중요하다고."]

성골롬반의원이 문을 닫은 지 올해로 꼭 10년.

아일랜드 수녀들이 베풀어 준 사랑과 헌신을 기억하기 위한 기념비가 제작됐습니다.

아이를 진료하는 수녀의 모습 아래 70여 명의 수녀 이름이 아로 새겨졌습니다.

기념비는 소외된 이웃과 남은 삶을 함께하겠다는 약속, 그 의미가 담긴 수녀의 종신서원 반지를 형상화했습니다.

의료봉사의 소임을 다한 수녀들은 앞으론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또다른 봉사의 길을 걸을 계획입니다.

[이애리사/성 골롬반 외방선교 수녀회 한국지부장 : "도와주는 많은 분들을 통해서 일을 하기 때문에 '우리와 함께했던 친구들', 그리고 '우리를 정말 사랑했던 친구들' 그렇게 기억되는 것."]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이청초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