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통 끝 경선의 시간..당 지도부 '선택지는 없었다'

곽희양·윤승민 기자 2021. 6. 25. 21: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주당, 대선 경선 '당헌대로'

[경향신문]

어떻게 헤쳐나갈까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국회 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눈을 감은 채 최고위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대선 경선 연기를 둘러싸고 한 달 넘게 이어졌던 더불어민주당 내홍이 수습 국면에 들어갔다. 당 지도부가 25일 대선 경선 일정을 미루지 않기로 결정하고, 경선 연기를 주장해온 비이재명계 대선 주자들이 이를 수용하면서다. 계파 갈등은 수면 아래로 들어갔지만, 이후 경선 과정에서 ‘반이재명계’ 연합이 펼쳐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최고위 회의에서 현행 당헌대로 ‘대선 180일 전’인 9월 초에 대선 후보를 뽑겠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경선 연기와 현행 유지 중 어느 것이 ‘100% 맞다 틀리다’가 아니고, (둘 다) 일리 있는 주장들이다. 그런 경우 원칙대로 할 수밖에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당내 의견이 한데 모아지지 않는 상황에서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는 의미다.

송영길 “상임고문위 조언 수렴”
항명 부담 비이재명계 결국 유턴
계파 갈등은 일단 수면 아래로

송 대표는 그러면서 상임고문의 권위를 활용했다. 그는 “상임고문들은 대체로 당내 갈등이 고스란히 노출되면서 ‘국민들이 짜증낸다’고 우려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송 대표는 특히 이해찬 전 대표가 지난해 ‘대선 180일 전’이라는 규정을 만들 당시에 대해 “이재명 경기지사의 존재감이 별로 없었고, 이낙연 전 대표의 대세론 상황일 때 각 캠프에 회람해 만든 안”이라고 말했다. 비이재명계 주자들의 반발을 억누르기 위한 제스처로 풀이된다.

전날까지만 해도 경선 연기 여부를 당무위원회에서 논의하자고 했던 대선 주자들은 이날 지도부를 따르겠다는 뜻을 일제히 밝혔다. 이낙연 전 대표 측 대변인 오영훈 의원은 “독단적 결정” “민주주의 전통을 허무는 나쁜 선례”라고 가장 먼저 입장을 내놨다가, 두 시간 뒤 “당 최고위원회의 결정을 수용한다”고 밝혔다. 그사이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집단면역 이후, 역동적 국민참여가 보장된 경선 실시가 최선이라 생각하지만 지도부의 결정을 수용하겠다”고 밝힌 것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광재·김두관 의원, 최문순 강원지사, 양승조 충남지사 역시 “최고위 결정을 존중한다”고 했다. 이재명 지사 측은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 “이제 소모적 논란을 자제하고 역동적인 경선에 집중해야 한다”는 반응이 나왔다.

경선 과정서 ‘반이재명’ 연합
단일화 국면 가능성 관측도

이는 당 지도부의 결정을 따르지 않고 ‘당무위 논의’를 고집하는 것이 득될 것이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선 주자로서 예비경선과 본경선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서, 당 지도부에 항명하는 모습으로 비치는 것은 마이너스 요인이기 때문이다. 또 당무위 소집 등으로 맞대응할 경우 자칫 내홍 악화에 대한 책임론을 뒤집어쓸 수 있고, 설혹 당무위에서 논의한다 하더라도 다른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지난 23일 열린 당무위에서는 ‘어떻게든 합의 처리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다수였다”며 “당무위 논의를 요청한다 하더라도 당무위에선 부결될 가능성이 높았다”고 전했다.

이로써 경선 연기 여부를 둘러싼 당내 갈등은 봉합 국면에 들어섰지만, 수면 위로 부상한 이재명계와 비이재명계의 갈등은 완전히 해소된 상황이 아니다. 다만 경선 일정이 눈앞으로 다가온 만큼 당장 당내 갈등으로 터져나올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한 중진 의원은 “다음달 초 예비경선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당장은 군소 후보들을 중심으로 세력을 조금이라도 더 넓히는 데 치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경선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단일화 국면’이 펼쳐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이재명계 연합으로 결합하는 모습이 그려질 수 있다는 의미다. 비이재명계 후보들은 결선투표에서 이 지사를 뒤집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한 재선 의원은 “이재명 지사를 당내 후보로 낼 수 없다는 분위기가 있다면 합종연횡이 가능하겠으나 현재로서는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곽희양·윤승민 기자 huiya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