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사 주범' 심방세동 환자, 술 끊으면 뇌졸중 위험 14% 줄어

권대익 2021. 6. 25. 20: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정맥의 일종인 심방세동(心房細動·atrial fibrillation)은 심장이 무질서하게 아주 빠르게 뛰는 대표적인 심혈관계 질환이다.

최의근ㆍ이소령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통한 심방세동 환자의 생활 습관 교정과 뇌졸중 발생률을 연구한 결과다.

그 결과, 심방세동 진단 후 금주한 환자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14%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돌연사의 주범'인 심방세동으로 진단된 환자가 술을 끊으면 뇌졸중 위험이 14%나 줄어든다. 게티이미지뱅크

부정맥의 일종인 심방세동(心房細動·atrial fibrillation)은 심장이 무질서하게 아주 빠르게 뛰는 대표적인 심혈관계 질환이다. 심방세동이 생길 때 재빨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뇌졸중이나 심부전으로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다.

심방세동은 뇌졸중 위험이 일반인보다 5~7배가량 더 높다. 이 때문에 ‘돌연사의 주범’으로 불린다. 전 인구의 2% 정도(100만 명)에서 나타나지만 병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치료율은 매우 낮다.

그런데 심방세동 진단 후 술을 끊으면 뇌졸중 발생 위험이 14%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의근ㆍ이소령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통한 심방세동 환자의 생활 습관 교정과 뇌졸중 발생률을 연구한 결과다.

연구팀은 2010~2016년 6년간 새로 심방세동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술을 계속 마신 3만5,299명과 술을 끊은 1만2,789명을 3년에 걸쳐 뇌졸중 발생 여부를 추적했다. 그 결과, 심방세동 진단 후 금주한 환자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14% 감소했다.

심방세동 환자의 음주가 뇌졸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심방세동 진단 후 금주가 뇌졸중 위험을 줄인다는 것을 확인한 것은 처음이다.

이소령 교수는 “최근 개정된 유럽심장학회 심방세동 치료 지침에서도 심방세동 환자 통합 치료의 한 축으로 금연·금주·운동·적정 체중 유지 등 생활 습관 교정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최근 지침 변화에 발맞춰 환자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 6월호 온라인에 게재됐다.

최의근(왼쪽부터), 이소령, 한경도 교수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