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소원은 내일이었다" 1950년 장진호, 死地의 기록

이향휘 2021. 6. 25. 16: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데스퍼레이트 그라운드 / 햄프턴 사이즈 지음 / 박희성 옮김 / 플래닛미디어 펴냄
1950년 겨울 북한 함경남도 장진호 유담리와 하갈우리 사이에 멈춰 선 미국 제1해병사단 해병대원. 그들은 극한의 추위와 중공군 인해전술에 밀려 흥남까지 중공군과 교전하며 퇴각해야 했다. [사진 제공 = 미국 해병대]
손자병법에는 구지(九地) 편이 있다. 전쟁터 지형에는 9가지가 있다는 얘기다. 손자가 9가지 지형 중 가장 마지막으로 거론한 곳이자 가장 고통스러운 지형으로 꼽은 곳이 사지(死地)다. 전진이나 후퇴도 어려워 "사력을 다해 싸우는 길밖에 없다"고 말했던 그곳. 올해 71주년을 맞은 6·25전쟁 중 최악의 사지에서 벌어진 전투는 무엇이었을까. 미국의 역사서술가이자 저널리스트인 햄프턴 사이즈(59)는 주저 없이 장진호 전투를 꼽는다. 영어로 사지를 뜻하는 책 '데스퍼레이트 그라운드(원제 On Desperate Ground)'의 무대가 장진호인 이유다. 인공 호수인 장진호는 개마고원 인근 산악으로 둘러싸인 곳이다. 함경남도 서북부에 위치해 있다. 장진호에서 벌어진 전투는 미국 해병대 역사상 가장 참혹한 전투로 꼽힌다. 또 장진호에서 흥남으로 이어지는 해병대의 대장정은 신의 가호를 받은 '크리스마스 기적'으로 불린다.

책을 펼치자마자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이다. 미국 제1해병사단 해병 1만3000여 명은 지구를 반 바퀴 돌아 막 목적지에 도착했다.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시골 마을과 농장에 있던 젊은이들이었다. 그들은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갑판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M1 소총 분해조립을 배웠다.

승률 5000대 1이라는 도박에 가까운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면서 전세는 역전된다. 석 달여 만에 연합군은 수도 서울을 탈환한다. 더글러스 맥아더 최고사령관은 한껏 승리감에 도취돼 있다. 38선을 넘어 압록강까지 밀어붙일 기세다. 김일성 패잔병들을 몰아내 한반도 전체를 통일한다면 그의 경력뿐 아니라 미국 전쟁 역사상 최고의 순간 중 하나가 될 터다.

그는 태평양 한가운데 떠 있는 웨이크섬으로 날아간다.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그의 가슴에 무공훈장을 달아준다. 맥아더는 "추수감사절 이전에 전쟁을 끝낼 것"이라며 중국의 개입을 걱정하는 대통령에게 자신만만하게 말한다. "만주에는 30만명의 중공군 병력이 있습니다. 그중 5만~6만명만이 압록강을 건널 수 있습니다. 중공군은 항공 지원이 없습니다. 엄청난 살육이 있게 되겠지요."

그의 야심 찬 계획에 따라 제1해병사단을 포함한 제10군단은 인천으로 돌아와 다시 배를 탄다. 70척이 넘는 함정들은 서해를 따라 군산과 목포를 들러 부산과 영덕, 삼척, 양양을 거슬러 올라가 북한 동부 항구도시 원산에 도달한다. 10월 26일이다. 북쪽으로 진격하면서 뜻하지 않은 맹추위가 밀려온다. 이미 함경도는 겨울에 접어들고 산악 지역에는 폭설이 내리고 있다. 불길한 기운을 감지한 제1해병사단장 올리버 프린스 스미스 장군은 11월 15일 워싱턴 해병대 사령관에게 장문의 편지를 써 "함흥에서 만주 국경까지 120마일이나 되는 산길을 따라 해병사단을 전개시키는 것이 내키지 않는다"며 "한국의 산악에서 벌어지는 동계 군사작전이 미군이나 해병대에게 무리한 요구라고 생각한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이 보고는 묵살됐다. 맥아더는 추수감사절이 끝나자 "제군들이여, 크리스마스까지는 집에 돌아갈 것"이라고 장담했다.

해병대 8000여 명이 장진호 서쪽 유담리에 도착한 날이 11월 26일이다. 장진호 남쪽 하갈우리에도 해병대 병력 3000명과 육군 병력 500명이 있다. 해발 1000㎞ 산악지대를 행군하며 지칠 대로 지친 그들을 맞이한 건 영하 30도에 달하는 살인적인 한파였다. 모든 것이 얼어붙었다. 동상 환자가 속출했다. 그곳의 추위는 "축축하고, 고통스러우며, 모든 걸 집어삼킬 듯…휘몰아치는 짐승"이었다. 또 하나의 복병이 있었다. 일찌감치 그곳에 도착해 산기슭에 매복하고 있던 중공군이다. 어둠을 틈탄 게릴라 공격과 인해전술이 시작됐다. "마치 들판 전체가 일어서서 앞으로 걸어오는 것 같았다. 많은 중공군이 쓰러졌지만, 빌어먹을 더 많은 중공군이 계속 밀려오고 있었다." 압록강을 건너온 중공군은 무려 26만명으로 추산된다.

그야말로 장진호는 '사지'였다. 그렇게 맥아더의 '크리스마스 대공세'는 맥없이 끝났다. 퇴각 명령이 내려졌다. 해병대원들을 이끈 스미스 장군은 이때 역사에 길이 남을 명언을 남긴다. 후퇴가 아니라 다른 방법의 공격일 뿐이라며 '역방향 기동' '후방으로의 진격'이라는 표현으로 쓰러진 부원들을 일으켜 세웠다. 실제로 퇴각하면서도 중공군과 교전하며 그들의 남하를 막았다. 후퇴했지만 승리한 여정으로 평가받는 이유다. 영화 '국제시장'이 잘 묘사했듯, 12월 15일부터 열흘간 군인과 민간인 20만여 명을 대피시키는 흥남철수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저자는 미군 역사상 가장 과소평가된 인물 중 한 명으로 스미스 장군을 꼽는다. 그의 신중한 리더십과 결단력이 중공군에 포위돼 전멸 위기에 처했던 해병대원들을 구했다는 얘기다. 생생하면서도 탁월한 스토리텔링으로 당시 상황을 다각도로 묘사한 이 전쟁서는 2018년 워싱턴포스트가 꼽은 '올해의 논픽션', 아마존 '올해의 역사책'에 올랐다.

[이향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