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조선일보에 '부적절 영문판 사설제목·삽화' 강력 항의

김범현 2021. 6. 25. 15: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와대가 최근 조선일보의 영문판 사설 제목과 문재인 대통령 삽화의 부적절한 사용과 관련해 조선일보 측에 강력히 항의한 것으로 25일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조선일보의 부적절한 영문판 사설 제목과 삽화 사용에 대해 강력한 유감과 함께 항의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일보측, 재발 방지 약속했다"
[조선일보 홈페이지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 청와대가 최근 조선일보의 영문판 사설 제목과 문재인 대통령 삽화의 부적절한 사용과 관련해 조선일보 측에 강력히 항의한 것으로 25일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조선일보의 부적절한 영문판 사설 제목과 삽화 사용에 대해 강력한 유감과 함께 항의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조선일보는 지난 23일 'Why Does Moon Keep Sucking up to N.Korea?'(왜 문 대통령은 계속 북한에 아부하는가?)라는 제목의 영문판 사설을 게재했다. 국문판에 실린 '김여정 시키는 대로 다 하고도 돌아오는 건 조롱과 경멸'이라는 제목의 사설과 같은 내용이다.

청와대는 'Sucking up'(아부하다·알랑거리다)이라는 표현을 문제 삼았다. 이 표현은 비속어로 볼 수는 없지만, 통상 기사 작성 시 인용문 외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부적절한 표현을 사설 제목에 올려 외국인들이 읽게 하는 것은 문제 아니냐"며 "조선일보 측은 사설 제목의 수정과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고 말했다.

해당 사설의 제목은 현재 'Why Is Moon Still Wooing N.Korea?'(왜 문 대통령은 계속해서 북한에 구애하느냐?'고 수정된 상태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역시 트위터에 해당 영문판 사설을 캡처한 사진을 올리면서 "번역하여 옮기지 않으련다"고 썼다.

조 전 장관은 조선일보가 자신의 딸 모습이 묘사된 삽화를 성매매 사건 기사에 올린 데 대해 강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청와대는 조선일보가 문 대통령 삽화를 사건 기사들에 부적절하게 사용한 데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조선일보는 '문재인 대통령과 거리두기'에 사용된 문 대통령 삽화를 '동충하초 설명회서 확진 안된 딱 한명, 행사 내내 KF94 마스크 벗지 않았다', '산속에서 3000여명 모임 의혹 인터콥 경찰 고발' 제하 기사에 재활용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조선일보 측은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실제 조선일보는 해당 삽화를 삭제하고 사과문을 게재했다.

kbeomh@yna.co.kr

☞ 시흥 부부 사망사건…딸들 최소 3개월간 부패한 시신과 생활
☞ 공중쇼하던 中드론떼, 공습하듯 유람선 추락…관광객 '날벼락'
☞ 핫도그 먹고 1천800만원 팁…한 식당에 찾아온 '깜짝 행운'
☞ 20대 여성 사는 집 창문 연 남성, CCTV 보고도…
☞ 미성년 두 딸 200회 강간한 아빠… 일기장에 낱낱이 남겨
☞ 폭격 맞은 듯 10여초만에 와르르…'미국판 삼풍' 참사의 전말
☞ "열심히 했을 뿐…고교·대학 시절 부정당해" 조민씨 증언 거부
☞ 강제 피임 폭로한 브리트니 스피어스 "아버지 감옥 가야"
☞ 오피스텔 7층 창문에 매달린 여성…119에 경찰까지
☞ 회전문에 다쳐 숨진 말기 신장병 환자…병원 책임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