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굴기' 中, 고비사막 지하 560m에 사용후핵연료 저장·보관 연구시설 짓는다

베이징=김남희 특파원 2021. 6. 25. 15: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원전 굴기를 추진하면서 쓰고 난 핵연료를 땅속 깊이 저장·보관할 시설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

사용 후 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저장·보관할 수 있는지 테스트할 지하 연구시설 건설을 시작한 것이다.

이곳에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장기 저장·보관을 위한 연구가 이뤄진다.

지하 보관이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 2050년까지 근처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장기 저장·보관 시설을 건설할 것으로 알려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북서부 간쑤성 고비사막 지하에 건설할 베이산(北山)지하실험실 조감도.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장·보관을 위한 연구가 이뤄질 예정이다.

중국이 원전 굴기를 추진하면서 쓰고 난 핵연료를 땅속 깊이 저장·보관할 시설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 사용 후 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저장·보관할 수 있는지 테스트할 지하 연구시설 건설을 시작한 것이다. 중국이 원전 강국 도약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은 17일 북서부 간쑤성 고비사막 지하에 베이산(北山)지하실험실을 짓는 공사를 시작했다. 이곳에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장기 저장·보관을 위한 연구가 이뤄진다. 지하 280m와 560m 지점에 시험 플랫폼을 건설하고 현장 실험을 할 예정이다. 중국원자력산업협회는 “세계 최대 규모 지하 연구 시설이 될 것”이라고 했다.

베이산지하실험실 건설에는 7년간 27억 위안(약 4700억 원)이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완공 후 50년간 운용될 예정이다. 지하 보관이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 2050년까지 근처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장기 저장·보관 시설을 건설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원자력 발전 확대를 향후 5년간 중점 과제로 선정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선언한 2060년 탄소중립의 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 배출이 없는 원자력 발전을 늘리는 것이다. 현재 원자력은 중국 전력 생산의 5%를 차지하는 데 그친다.

중국 독자 개발 3세대 원자로 화룽 1호가 적용된 푸젠성 푸칭시 원전 5호기. /신화사 연합뉴스

중국 정부는 3월 공개한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경제·사회 발전 목표와 2035년 장기 목표 초안에서 2025년까지 원자력 설비용량을 70기가와트(GW)로 늘린다는 목표를 밝혔다. 2020년 말(49.9GW) 대비 약 40% 증가한 수치로, 원자로 20기를 새로 짓는 것과 같은 규모다. 중국은 원자력 발전량 확대를 위해 해안 원전 건설과 부유식 해상 원전 등 신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원자력 발전이 늘수록 방사성 폐기물 안전 처리가 중요하다. 방사성 폐기물은 방사능 농도에 따라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극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로 나뉜다.

방사능 농도가 옅은 중·저준위와 극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이 방사성 폐기물의 약 99%를 차지한다. 중국엔 간쑤성과 남부 광둥성, 남서부 쓰촨성에 이 두 종류의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곳이 있다. 앞으로 저장성, 푸젠성, 산둥성 등 원전이 있는 해안 지역에 처리 시설 5곳을 더 지을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능 농도가 높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보통 사용 후 핵연료를 말한다. 사용 후 핵연료도 일정 기간 열과 방사능이 배출되기 때문에 밀폐 공간에서 특별 관리를 해야 한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설은 중간 저장 시설과 영구 처분 시설 두 가지가 있다. 중간 저장 시설은 사용 후 핵연료 재활용 가능성을 감안해 수십 년간 장기 보관하는 곳이다. 영구 처분은 지하 깊숙이 무기한 묻는 것을 말한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전 세계에 25만 톤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이 있다. 모두 임시 저장 시설에 보관 중이다. 주민 반대로 영구 처분 시설 부지를 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핀란드가 세계 첫 심층 영구 보관소를 건설 중이며 2023년 운용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사용 후 핵연료 중간 저장·영구 처분 시설 마련 추진은 지지부지한 상황이다. 2015년 경주에 중·저준위 처리장만 지었다. 2016년 7월 박근혜 정부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중간 저장 시설과 영구 처분장 건설 계획을 내놨으나, 2017년 7월 문재인 정부는 주민·환경단체 의견 수렴 부족을 이유로 폐기시켰다. 2019년 출범한 ‘사용후핵연료관리정책재검토위원회’는 올해 3월 활동을 종료했다. 정부에 부지 선정 절차 법제화와 독립 행정위원회 신설 등을 권고하는 데 그쳐, 중간 저장·영구 보관 시설 건설·운용 방안 등 알맹이가 빠졌다는 비판이 나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