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탄압에 퍼지는 공포.. 붓 꺾는 홍콩 학자들

이귀전 2021. 6. 25. 15: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4일(현지시간) 올해로 창간 26주년을 맞은 빈과일보는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1주년을 엿새 앞두고 이날 폐간됐다. 사과 모형 가운데 빈과일보의 '마지막 신문' 도로 위에 놓여있다. AFP연합뉴스
중국의 언론 탄압을 홍콩 반중신문 빈과일보가 폐간된 후 홍콩 학자들이 잇따라 신문 칼럼 절필에 나섰다. 중국에 반하는 글을 썼다는 이유로 체포되고, 신문이 문을 닫는 상황이 벌어지자 언론계에 이어 학계에도 공포가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이런 상황에서도 ‘언론 자유’가 있다는 궤변을 쏟아내며 홍콩에 대한 탄압을 정당화했다.

25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홍콩프리프레스(HKFP) 등에 따르면 홍콩 중문대 정치학자 이반 초이는 빈과일보가 폐간을 발표한 지난 23일 15년간 이어온 신문 칼럼의 절필을 선언했다. 이반 초이는 2006년부터 홍콩 명보에 매주 정치 평론을 실어왔다.

초이는 “지난해 홍콩보안법 시행 후 특히 중국과 홍콩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을 쓰는 데 있어 정치적 압박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이제 칼럼 집필을 그만둬야 할 때라고 느낀다”고 토로했다.

중국 공산당에 반하는 글을 쓰는 이들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탄압을 자행하고 있는 셈이다. SCMP는 “광범위한 내용의 홍콩보안법이 언론에 자유롭게 견해를 밝히고 정기적으로 칼럼을 게재해온 학자들에게 두려움을 안기고 있다”고 전했다.

홍콩보안법 9조와 10조는 ‘홍콩 정부는 국가안보를 위해 학교, 사회단체, 언론, 인터넷 등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고, 이들에 대한 선전·지도·감독·관리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홍콩 경찰은 포털 등이 제공하는 기사나 정보가 홍콩보안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할 경우 삭제를 요구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 등에서 소문을 퍼뜨리는 행위 등도 처벌할 수 있게 됐다.

24일(현지시간) 새벽 홍콩의 대표적 반중매체 빈과일보의 폐간 전 '마지막 신문'을 사려는 시민들이 줄지어 서 있다. 빈과일보는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1주년을 엿새 앞두고 이날 마지막 신문을 발행하며 창간 26년의 역사를 마감했다. AFP연합뉴스
이럴 경우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에 대해선 최고 무기징역형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SCMP는 다른 몇몇 학자들도 신문 칼럼 절필을 결심했고, 그간 자유롭게 코멘트를 해온 일부 학자는 이제 익명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간 정기적으로 평론을 해오다 중단한 한 평론가는 SCMP에 “인터뷰 요청에 응할 수 없다”며 “그 이유는 홍콩보안법의 광범위하고 무시무시한 적용에 있다”고 말했다.

24일(현지시간) 홍콩의 반중 매체 '빈과일보' 직원들이 본사에 모여 박수하며 아쉬운 작별을 고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1990년부터 언론에 기고해 온 대표적 논객 중 한 명인 마웨(馬嶽) 홍콩 중문대 정치학과 교수는 매주 써오던 칼럼을 지난해 말부터 한 달에 한번으로 줄였다.

그는 “정부가 여론에 신경을 쓰지 않는 상황에서 토론을 위한 올바른 환경이 결여돼 있다”며 “점점 더 칼럼을 쓰는 게 힘들고 너무 고통스럽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이런 상황을 놓고 ‘문을 닫은 것은 빈과일보지 홍콩 언론의 자유가 아니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실었다.

홍콩에서 언론의 자유는 여전하다는 것이다. 신문은 “빈과일보는 홍콩에서의 저항을 불러일으키고 홍콩을 미국·영국의 대중정책과 결탁시키려는 여론의 본거지가 됐다”며 “헌법에 대항하기 위해 여론을 조작하는 매체를 허용할 국가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홍콩의 그 어떤 것도 헌법에 맞설 수 없다”며 “헌법과 기본법에 맞서는 행위를 미화하려는 모든 시도는 실패할 수 없다는 것은 빈과일보 폐간이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AP연합뉴스
이와 관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빈과일보가 폐간에 대해 24일(현지시간) “홍콩과 전 세계 언론 자유에 슬픈 날”이라며 중국을 비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직접 성명을 내고 “중국의 억압 강화가 빈과일보의 폐간수준까지 이르렀다”며 “중국은 기본적 자유를 부정하고 홍콩의 자치권과 민주적 제도를 공격하고 있다. 미국은 홍콩 주민들을 흔들림 없이 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독립적 언론은 견고하고 번영하는 사회에 귀중한 역할을 수행한다”며 “중국은 독립 언론을 표적삼는 것을 중단하고 구금된 언론인과 언론 경영진을 석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베이징=이귀전 특파원 frei5922@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