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 차세대 순수 전기차에 라이다·AI 기반 슈퍼컴퓨터 탑재

박소현 2021. 6. 25. 11: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볼보, 차세대 순수 전기차에 라이다·AI 기반 슈퍼컴퓨터 탑재 [사진제공=볼보코리아]
볼보자동차가 새롭게 개발하는 순수전기차에 라이다(LiDAR) 기술과 인공지능(AI) 기반 슈퍼컴퓨터를 표준으로 탑재해 차원이 다른 충돌방지 기능을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볼보는 자체 개발 소프트웨어와 자회사 젠스엑트·루미나가 개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차세대 충돌방지 기술로 사망·사고자를 줄이는 안전 목표를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볼보의 차세대 순수전기차에는 자율주행차 센서 스타트업인 루미나가 개발한 라이다 기술과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DRIVE Orin) 시스템온칩(SoC) 기반의 자율주행 컴퓨터 등 최첨단 센서가 표준으로 탑재될 예정이다.

이전 세대 기술이 잠재 위험이나 즉각적인 위협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데 그쳤다면 새로운 안전 기술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점차 더 개입하도록 설계됐다. 더불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해 지속적인 성능 개선이 기대된다.

센서 조합 및 AI 컴퓨팅 성능 외에도 차세대 플래그십 모델에는 자율주행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향 및 제동과 같은 주요 기능을 위한 백업 시스템도 탑재된다. 젠스엑트와 함께 볼보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고속도로 파일럿 기능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법적으로 허용되는 특정한 지리적 위치 및 조건에서 고속도로용 자율주행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하칸 사무엘손 볼보 최고경영자(CEO)는 “볼보는 자동차 안전의 다음 단계를 정의하고자 한다”면서 “새로운 표준 하드웨어를 통해 무선으로 안전 기능을 지속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까지 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소현 매경닷컴 객원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