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구술 시인의 소박한 외출 .. "이제 죽어도 여한 없다"

안경호 2021. 6. 25. 10: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백 살을 넘겨 팔자에도 없는 시인이 됐다고 했다.

올해 나이 101세인 백성례 할머니.

백 할머니로선 생경한 경험이었다.

백 할머니가 25일 완주군청사를 방문한 것도 '시인(詩人) 효과' 덕분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령 구술 시인 백성례 할머니가 25일 전북 완주군청을 방문, 박성일 완주군수에게 선물한 '100세 할머니의 기도'라는 제목의 자작시 액자를 옆에두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완주군 제공

백 살을 넘겨 팔자에도 없는 시인이 됐다고 했다. 올해 나이 101세인 백성례 할머니. 그는 거의 평생을 고향인 전북 완주군 동상면 입석마을을 벗어난 적이 없다고 했다. 국내 8대 오지(奧地) 중 한 곳이다. 그의 삶이 어떠했으리라는 건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영감 산자락에 묻은 지 수년 지나 / 백 살에 초승달 허리 이마 주름 뒤덮는데 / 왜 어찌 날 안 데려가요이, 제발 후딱 데려가소, 영감...'(영감 땡감 중에서)

그가 가슴 속에 맺힌 응어리를 한풀이하듯 토해낸 말은 곧 시(詩)가 됐다. 국내 최고령 '구술(口述) 시인'의 탄생이다. 신산을 겪어온 그가 입으로 풀어낸 언어와 사연을 박병윤(52) 동상면장이 채록해 시집 '홍시 먹고 뱉은 말이 시가 되다'에 담은 것이다. 백 할머니로선 생경한 경험이었다.

이후 그의 삶은 180도 바뀌었다. 하루 종일 방구석에 시무룩하게 앉아 시간을 죽이는 게 일이었던 그가 그예 자리를 털고 일어서 콧바람을 쐬기 시작했다. 집앞 텃밭을 직접 일구고 동네도 한 바퀴씩 돌아다닌다. 며느리 원영수(58)씨는 "시집이 나오기 전에는 어머니께서 주로 방에만 계셨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으시다"며 "가슴에 담아 두셨던 100년의 한을 시로 풀어내신 덕분인지 안색이 좋아지셨고 활동도 많이 하신다"고 말했다.

백 할머니가 25일 완주군청사를 방문한 것도 '시인(詩人) 효과' 덕분이다. 오지에서 산 탓에 군청 한번 방문하는 게 소원이었다는 그는 큰마음을 먹고 길을 나섰다. 예전 같으면 엄두도 못 낼 일이었다. 이날 며느리와 함께 박성일 완주군수를 만난 그는 시인답게 '100세 할머니의 기도'라는 제목의 자작시 액자를 선물했다.

'맨날 맨날 기도혀요 / 나라가 잘 되라고 / 기도허고 / 대통령이 잘 허라고 / 기도허고...' 액자 속 시구(詩句)를 읊조리던 박 군수는 "어르신 한 분이 돌아가시면 역사 하나가 사라진다는 말이 있다"며 "한 세기의 삶을 살아오신 백 할머니께서 방문해 주신 고마운 마음을 잊지 않고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꼼꼼히 챙겨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백 할머니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 수몰지역 삶의 아픈 이야기를 책으로 맹글어서(만들어서) 가슴에 응어리로 남았던 한을 다 털어낼 수 있었다"며 "속을 다 훑어내니 후련허고,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군청을 나와 집으로 발길을 돌리던 백세 시인의 주름진 얼굴엔 미소가 환하게 번졌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