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여자라서 ADHD를 의심하지 못했다

박동미 기자 2021. 6. 25. 10: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환자를 검사하고 치료하던 임상심리학자가 어느 날 ADHD를 진단받았다.

그는 왜 지금껏 자신을 ADHD 환자로 의심하지 못하고, 서른 살에야 진단받게 됐을까.

그러는 동안 여성 ADHD 환자들은 자신이 왜 불안정한 정체감에 시달리는지 알지 못한 채, 체념과 좌절, 무기력을 '자신의 탓'으로만 돌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는 오늘 나에게 ADHD라는 이름을 주었다 |신지수 지음 | 휴머니스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환자를 검사하고 치료하던 임상심리학자가 어느 날 ADHD를 진단받았다. 그는 왜 지금껏 자신을 ADHD 환자로 의심하지 못하고, 서른 살에야 진단받게 됐을까.

스스로 이를 추적하던 저자는 ADHD 관련 도서 대부분이 유아기와 아동기 남자아이, 그리고 성인의 증상만을 다루고 있다는 걸, 즉 여자아이들이 ADHD 진단에서 배제돼 온 것을 발견한다.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오래된 ‘젠더 편향’이 ADHD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던 것. 진단을 받기 전엔 게으른 사람, 산만한 사람 등으로 불리던 저자는 “주기적으로 고통을 주던 것이 병명이라는 실체로 드러나자 나아질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다”고 안도한다. 억울하고 아쉽기도 했다. 대부분의 여성이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어른이 돼서야 병원에 오기 때문이다.

책에 따르면 여성 ADHD는 남성 ADHD와 극적으로 다른 양상을 띤다. 하지만 대중매체는 ‘ADHD=천방지축 남자아이’만을 조명하고 전문가와 양육자, 교육자들은 여전히 성 고정관념을 떨쳐내지 못한다. 그러는 동안 여성 ADHD 환자들은 자신이 왜 불안정한 정체감에 시달리는지 알지 못한 채, 체념과 좌절, 무기력을 ‘자신의 탓’으로만 돌린다. 이들은 종종 자신을 맡길 수 있는 ‘통제 소재’를 찾는다. 즉, 가스라이팅의 피해자가 되기 쉽다는 말이다.

저자는 ADHD 진단 도구의 한계, 진료실 안과 밖의 ‘젠더 편향’ 등 정신의학뿐만 아니라 구조적 문제점들까지 따져 묻는다.

동시에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 일상 관리 등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치료법과 생활 팁 등도 일러준다. 288쪽, 1만6000원.

박동미 기자 pdm@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