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광종의 차이나 別曲] [145] 배반과 망명

유광종 중국인문경영연구소장 2021. 6. 25. 03: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유광종의 차이나 別曲] [145] 배반과 망명

‘전력투구(全力投球)’라는 말이 언제 성어 반열에 올랐는지는 분명치 않다. 야구라는 스포츠가 인기를 얻으면서 마운드에서 공 던지는 피처의 중요성과 함께 만들어진 말인 듯싶다. ‘모든 힘을 다하다’ 정도의 뜻이다.

투(投)라는 글자는 공 등을 ‘던지다’라는 새김에만 그치지 않는다. 내가 지닌 모든 요소를 한곳에 몰아넣는 경우도 설명한다. 때론 ‘스스로 목숨을 끊다’의 뜻과 바로 이어지는 투신(投身)이 대표적이다.

본래 어느 한곳에 제 역량을 집중하는 일이다. 좋은 기회가 닥쳤다고 생각해 제 금전 등을 걸 때는 투기(投機)다. 훌륭한 스승 만나 가르침을 청하면 투사(投師)다. 일찍이 불문(佛門)에서 썼던 말이다.

전쟁이 벌어지고 진영(陣營)이 나뉘어 제가 머무는 곳을 뒤바꿀 때도 이 글자는 자주 등장한다. 대표적 단어가 투항(投降)이다. 적에게 항복하는 일이다. 요즘 중국 관련 뉴스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는 투성(投誠)이다.

우리 용례는 없지만 중국에서는 흔하다. 제가 지닌 신념[誠] 등을 바꾸는 행위다. ‘투항’은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취하는 굴종이지만 ‘투성’은 먼저 나서서 적진으로 가 몸을 의탁하는 일이다. 때로는 상대방에게 직접 달려간다고 해서 투분(投奔)이라고 한다.

일종의 망명(亡命)이다. 원래 살던 곳의 호적[命] 등을 없앤다[亡]고 해서 나온 단어다. 도망(逃亡)이라는 단어 쓰임도 흔하다. 중국에서는 ‘배반’과 ‘도망’을 합쳐 반도(叛逃)라고도 부른다. 제 뜻을 굽혔다고 해서 적는 변절(變節)이라는 단어도 같다.

중국이 부인했지만, 역사상 최고위층 간부가 미국으로 ‘투성’했다는 관련 소식이 줄곧 이어진다. 덩달아 ‘반도’ ‘망명’ ‘변절’이란 낱말도 함께 오른다. 진위는 분명치 않으나, 미·중 대립과 갈등이 더 깊어지는 분위기를 설명하는 단어 흐름이다.

둥징웨이 중국 국가안전부 부부장의 망명 관련 소문을 전한 트위터 게시물. 톈안먼 사태 이후 미국으로 망명해 민주화운동가로 활동 중인 전 중국 고위외교관 리안차오한이 지난 16일 트위터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리안차오한 트위터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