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톡톡] 프로젝트 솔져..참전용사를 찾아서

최재훈 2021. 6. 24. 2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부산지역 출판·문화계 소식을 전하는 문화톡톡 코너입니다.

전 세계를 다니며 한국전쟁 참전용사를 기록하는 라미현 사진작가를, 최재훈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71년 전 한국이란 나라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참전한 용사들이 묻힌 곳.

한국전쟁 참전용사의 모습을 기록해온 사진작가 라미현 씨가 UN 기념공원을 찾았습니다.

[라미 현/사진 작가 : "그분들이 왜 이 땅에 와서 피를 흘리고 이렇게 많은 분이 돌아가셨는지 의미를 알게 되면서 더 늦기 전에 그런 분들을 기록하기 위해서 이 작업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자유를 가진 사람에게는 의무가 있다.

자유를 잃게 생긴 사람들에게 자유를 지켜주는 것이다.

우리가 한국전쟁에 참여한 것도 그 의무를 지키기 위함이었다.

한국전쟁에서 오른팔과 오른 다리를 잃은 아흔 살의 윌리엄 빌 베버 노병이 라미현 씨에게 직접 전해 준 말입니다.

라미현 씨가 지금까지 사진에 담은 한국전 참전용사는 1,500여 명.

[라미 현/사진 작가 : "선생님들이 많은 분이 자기 이야기들이 잊혀지지 않게 많은 한국 사람들에게 알려달라고 하셨고요. 그것을 저희는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했습니다."]

난 한국전쟁 참전 용사다.

그게 내 인생의 가장 큰 명예다.

이 땅에 바쳐진 그들의 용기와 헌신을 기억하기 위한 전시회도 열리고 있습니다.

[고은성/유엔평화기념관 학예사 : "오시게 된다면 참전용사의 모습을 생생하게 볼수 있을 뿐 아니라 그분들이 남긴 좋은 말씀들 명언들을 볼 수 있고 또 아이들에게 교육적으로도 좋은 의미가 있는 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라미현 작가는 이 긴 여정을 시작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한국전쟁 참전용사를 기록하는 메신저가 되어 그들의 존재를 알리고 그들의 자부심을 지켜주며 다음 세대에 메시지를 남기고자 함입니다.

문화톡톡 최재훈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이동훈

최재훈 기자 (jhhs@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