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콜대상 아닌 최신車도.. 코나 전기차 또 불

류정 기자 2021. 6. 24. 20: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1조4000억원 들여.. 8만대 배터리 교체했는데도
충남 보령·노르웨이 오슬로서 닷새 간격으로 연쇄화재 발생

지난 2월 ‘전기차 역사상 가장 비싼 리콜’ 기록을 세웠던 현대차 코나 전기차에서 또다시 화재가 잇따라 발생했다. 특히 이번에 불이 난 코나 차량은 리콜 대상에서 빠졌던 최신 생산 차량들이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현대차가 애초 화재 원인을 파악해 리콜 범위를 정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리콜을 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23일(현지 시각) 노르웨이 오슬로의 한 도로변에 주차한 코나 전기차에서 불이 났다. 이 차는 지난 2월 현대차가 발표한 배터리 리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신차여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노르웨이 전문지 테크노

◇리콜 대상 아닌데... 화재 2건 또 발생

지난 18일 충남 보령의 한 펜션에 주차 중이던 코나 전기차에서 불이 나 전소됐다. 소방 당국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 하부에서 불이 시작돼 흰 연기를 내뿜으며 폭발하듯 연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재 차량은 현대차가 리콜을 통해 배터리 시스템을 전면 교체하기로 한 ’2018년 5월~2020년 3월 생산분'에 포함되지 않은 차로 확인됐다. 2020년 4월 이후 나온 거의 새 차라는 것이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도 비슷한 화재가 났다. 23일(현지 시각) 도로변에 주차했던 코나 전기차에서 불이 나 현지 소방대와 경찰이 출동했다. 이 차는 2020년 9월 생산돼 1년도 안 된 새 차로, 역시 리콜 대상이 아니었다. 소방관들은 이 차에 물을 뿌리고 담요를 덮은 뒤, 컨테이너로 만든 수조에 넣어 진화했다. 대용량 배터리에 한번 불이 붙으면, 폭발적인 연쇄 발열로 불이 쉽게 꺼지지 않아 이런 방법을 동원한 것이다.

◇원인 잘못 짚었나... 추가 리콜할 수도

현대차는 지난 2월 전 세계에서 코나 전기차, 아이오닉 전기차, 일렉시티 전기버스 총 8만1701대(코나만 7만5680대)의 배터리를 전면 교체해주는 리콜을 단행했다. 2018년부터 국내외에서 15건의 코나 화재가 발생하자, 같은 배터리를 쓰는 다른 차종까지 리콜한 것이다. 1조4000억원의 리콜 비용은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30대70으로 부담하기로 했다.

그런데 리콜 대상이 아닌 차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하면서, 현대차가 화재 원인을 잘못 짚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2월 리콜 당시 국토부는 “LG에너지솔루션의 중국 난징 공장에서 특정 시기(2017년 9월~2019년 7월) 생산된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대상”이라고 밝혔다. 리콜 이유는 “셀 제조 불량에 따른 내부 합선 가능성”이라고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당시 2019년 7월 공정을 개선해 이후 생산된 배터리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절연 코팅을 해 합선 가능성을 없앴다는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 화재 차량에도 LG의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리콜됐던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난징 공장에서 공급한 배터리가 탑재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 국내 생산된 코나 전기차는 모두 난징 공장 배터리가 탑재되는데 노르웨이 화재 차량도 한국에서 수출된 차로 확인됐다.

현대차와 LG, 그리고 국토부가 애초에 원인을 잘못 짚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배터리 전문가인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공정을 개선해 절연 코팅을 했는데도 배터리에도 불이 났다면 원인을 원점에서 다시 찾아야 한다”며 “현대차가 설계한 코나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마진이 너무 낮다”고 지적했다. 안전마진이란 폭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충전이 완전히 되지 않도록 남겨두는 용량이다. 현대차 코나는 다른 업체의 절반 수준인 3%밖에 안 된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안전마진이 낮은 배터리가 가혹한 충전 환경에 노출되면서 불량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이에 대해 “보령 화재 건은 국토부·교통안전공단과 원인 파악 중이며, 노르웨이 건도 상황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