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 SKC, SK텔레시스 통신사업 789억 원에 매각

임세원 기자 2021. 6. 24. 17: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C의 자회사 SK텔레시스가 통신사업을 매각한다.

SKC는 24일 자회사 SK텔레시스가 팬택C&I에 통신장비 사업부문과 통신망 유지보수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SKC인프라서비스를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SK텔레시스는 이번에 통신사업을 매각해 지속적인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한 추가 재원을 확보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팬택 C&I 인수
모빌리티·반도체·친환경 투자 역량 확보
[서울경제]

SKC의 자회사 SK텔레시스가 통신사업을 매각한다.

SKC는 24일 자회사 SK텔레시스가 팬택C&I에 통신장비 사업부문과 통신망 유지보수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SKC인프라서비스를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총 매각금액은 789억원이며, 8월까지 관련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SKC는 2011년 이후 단말기 사업 진출로 한 때 어려움에 처했던 SK텔레시스 경영 정상화를 추진했고, 2016년 이후 4년 연속 흑자를 이끌어냈다.

SK텔레시스는 이번에 통신사업을 매각해 지속적인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한 추가 재원을 확보했다. 이후 SK텔레시스는 반도체 사업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한다.

SKC는 2017년 이후 사업구조 재편과 자산효율화를 통해 모빌리티, 반도체, 친환경 등 미래 신규 유망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SKC는 지난해 2차전지용 핵심소재인 동박 제조사 SK넥실리스를 인수, 모빌리티 소재 사업을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장착했다.

SK넥실리스는 올해 말레이시아와 유럽 등 대규모 해외 생산기지 확장에 나서 2025년까지 세계 최대인 20만톤 이상의 동박 생산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또 화학사업을 분사해 쿠웨이트의 국영석유기업과 합작사를 설립해 글로벌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는 한편, 유색 PI필름 제조사 SKC코오롱PI와 국내 화장품 천연 원료 1위 SK바이오랜드의 지분을 매각해 미래 투자를 위한 성장재원을 확보한 바 있다.

SKC는 지난해 고정밀 부품소재인 파인세라믹스 분야 국내 1위 SKC솔믹스를 100% 자회사로 전환하고, SKC 내의 반도체 소재·부품 사업을 SKC솔믹스로 통합해 효율성을 높인 바 있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