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자원의 보고, 백두대간서 희귀식물 15종 새롭게 발견

조한필 2021. 6. 24. 14: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 백두대간 자원실태변화 식물 조사 결과 1237종 자생 확인
한국특산식물은 65종, 희귀식물은 101종 분포
백두대간에서 새롭게 발견된 위기(CR)등급 희귀식물 이노리나무 [사진 제공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청, 한국산림과학회와 공동으로 추진한 백두대간 자원실태변화 식물 조사 결과 총 1135종을 확인했고 기존 조사 자료와 종합해 백두대간에는 총 1237종의 식물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조사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백두대간 남한 구간인 설악산 향로봉에서 지리산 천황봉까지(701㎞)의 마루금 양측을 500m 간격으로 조사했는데 2821개 지점을 도보로 이동하며 조사한 방대한 결과다.특히 이번 조사는 기존 조사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국가적색목록중 위급(CR)등급 4종(이노리나무, 홍월귤, 꽃장포 등)과 위기(EN)등급 11종(댕강나무, 국화방망이, 깽깽이풀 등) 등 총 15종의 희귀식물을 새롭게 발견됐다.또한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희귀식물은 총 41과 101종으로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CR)등급에는 눈잣나무·설악눈주목·산작약 등 9종, 위기종(Endangered·EN)등급에는 바람꽃·흰참꽃나무·댕강나무 등 총 18종, 취약종(Vulnerable·VU)등급에는 가문비나무·주목·시호 등 총 31종, 약관심종(Least Concerned·LC)등급에는 구상나무·측백나무·세잎종덩굴 등 총 36종, 자료부족종(Data Deficient·DD)등급에는 산흰쑥 등 총 7종 등이 확인됐다.이와 함께 한국특산식물은 27과 65종이 발견됐고 기후변화취약식물은 37과 100종 등으로 보호와 관찰이 필요한 식물들이 상당수였다.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과장은 "앞으로는 식물자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과 역사·문화를 반영한 권역별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번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 '백두대간의 이해'는 7월 1일부터 국립산림과학원 전자도서관에서 대국민 공개를 시작할 예정이다.

[조한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