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종합반도체 테마, DB하이텍 +5.63%, SK하이닉스 +2.02%

C-Biz봇 2021. 6. 24. 1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DB하이텍(000990) +5.63%, SK하이닉스(000660) +2.02%, 삼성전자(005930) +1.12%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해외 종합반도체 기업으로는 대표적으로 인텔, 마이크론 등이 있으며, 국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음.

SK하이닉스는 파운드리 자회사 SK하이닉스시스템IC가 중국 우시에서 파운드리 라인을 운영하고 있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해당 언론사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종합반도체]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92% 상승세이다. DB하이텍(000990) +5.63%, SK하이닉스(000660) +2.02%, 삼성전자(005930) +1.12%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3줄 요약▷ 종합반도체, 칩 설계부터 생산·판매까지 자체 운영▷ 미-중 반도체 패권 분쟁으로 기술확보·인력투자 필요↑▷ 설비투자 및 신기술 확보 등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종합반도체'(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IDM) 회사란 칩 설계부터 완제품 생산 및 판매까지 모든 분야를 자체 운영하는 기업을 의미. 해외 종합반도체 기업으로는 대표적으로 인텔, 마이크론 등이 있으며, 국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음.

IC 인사이츠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종합반도체 기업의 점유율은 1위 미국(50%), 2위 한국(30%), 3위는 유럽(9%)으로 나타남. 같은 기간 세계 반도체 기업 매출 순위는 1위 인텔(727억 달러) 2위 삼성전자(577억 달러) 3위 SK하이닉스(258억 달러) 기록(출처: 가트너).

최근 반도체 업계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술의 등장으로 반도체의 쓰임새가 늘고 제조 공정이 고도화되면서 팹리스(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후공정(패키징) 등으로 분업화 됨. 특히 초미세공정의 필요에 따라 팹리스와 파운드리 사이의 분업화가 더욱 가속화.

국내 업체들은 D램과 낸드플래시 중심의 메모리반도체 시장을 선점하고 있음.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팹리스와 파운드리 위주의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은 취약. 삼성전자는 2005년부터 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해 세계 2위(출처: D램익스체인지) 차지. SK하이닉스는 파운드리 자회사 SK하이닉스시스템IC가 중국 우시에서 파운드리 라인을 운영하고 있음. 하지만 2019년 기준 시스템반도체 세계시장점유율은 3.2%로 10년간 정체(출처: 한국수출입은행) .

미국과 중국은 반도체 산업 패권을 유지하고자 자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음. 반도체 패권 분쟁 장기화가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업체들에게 불확실성은 우려 요인. 전 세계적인 파운드리 설비 부족과 팹리스 고객들의 파운드리 탈중국 영향에 발맞춰 수요처 다변화 전략 및 해당 부문의 인력 육성, 기술기반 확보를 위한 투자 필요성이 높은 상황. 2020년 말부터 차량용 반도체를 시작으로 IT, 가전 등 반도체 품귀 현상이 확산됨. 코로나19로 줄어들었던 반도체 수요가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이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발생. 더불어 2021년 2월 미국 텍사스주 한파로 삼성전자 오스틴 반도체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3월에는 일본 르네사스 공장 화재 및 대만 가뭄에 TSMC를 비롯한 반도체 업체들의 생산 차질이 일어나는 등 자연재해가 반도체 공급 상황을 더욱 악화시킴.

단기간 공급량 확대도 어려워 반도체 품귀현상은 전체 반도체 가격을 상승시킴.IC인사이츠는 2021년 D램과 낸드플래시 매출이 각각 18%, 17% 늘어 전제 반도체 제품 중 성장률 1, 2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가격 상승에 따른 평균판매가격(ASP)이 올라 수익성 개선 여지가 큰 상황. 두 회사의 2021년 영업이익은 최고 실적이었던 2018년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출처: 대신증권).

(마지막 업데이트 2021.04.19)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DB하이텍(000990) +5.63% DB그룹 계열 순수 파운드리(Foundry, 위탁생산) 업체(세계 10위, 2019년 기준). 주력 분야는 8인치 웨이퍼(반도체 원재료). 8인치 파운드리는 전 세계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 극심한 공급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나 8인치 파운드리 장비의 희소성과 팹 내 감가상각비 등을 고려해 증설에는 보수적인 기조 유지.
SK하이닉스(000660) +2.02% SK그룹 계열의 종합반도체 기업(세계 3위, 2020년 매출 기준). 주력 생산제품은 메모리반도체. 비메모리 사업은 파운드리 자회사인 시스템IC를 통해 진행 중이나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순위권 밖으로 경쟁사에 비해 낮은 수준. 2020년 D램의 의존도가 높은 사업구조를 극복하고 낸드플래시 사업 성장에 추진력을 더하기 위해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문을 10조원에 인수하는 양도 양수 계약 체결.
삼성전자(005930) +1.12% 삼성그룹 계열의 종합반도체 기업(세계 2위, 2020년 매출 기준). 주력 생산제품은 메모리반도체(D램, 낸드플래시). 최근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를 키우며 모바일 AP와 차량용 반도체 시장 확대에 대비 중. 파운드리 사업에서는 2020년 4분기부터 5나노 1세대 신제품 공급을 시작했으며, 2021년 하반기 5나노 2세대와 3세대 제품 동시 양산 계획. 시스템 반도체 글로벌 1위 달성을 목표로 2030년까지 파운드리를 포함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총 133조원을 투입하는 '반도체 비전 2030'을 진행 중.

종합반도체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3.39%
1개월 등락률 -3.65%
1주 등락률 -3.12%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