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디 "2026년부터 전기차만 출시..2033년엔 내연기관 엔진 생산 중단"

이강준 기자 2021. 6. 24. 1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우디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기후 컨퍼런스에서 'e-모빌리티 전환 가속화 전략'을 발표하며 오는 2026년부터 순수 전기차만 출시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아우디는 새로 개발하는 내연기관 엔진을 장착한 모델의 생산을 4년 이내에 시작할 예정이며, 2026년부터는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는 신차는 순수 전기 구동 모델로만 출시할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제공=아우디


아우디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기후 컨퍼런스에서 'e-모빌리티 전환 가속화 전략'을 발표하며 오는 2026년부터 순수 전기차만 출시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아우디는 새로 개발하는 내연기관 엔진을 장착한 모델의 생산을 4년 이내에 시작할 예정이며, 2026년부터는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는 신차는 순수 전기 구동 모델로만 출시할 계획이다.

또 2033년까지 내연기관 엔진의 생산을 순차적으로 중단하고, 늦어도 2050년까지는 완벽한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커스 듀스만 아우디 AG 대표는 이날 발표에서 "아우디의 강점인 혁신을 통해 고객에게 지속 가능하고 탄소중립적인 다양한 모빌리티 옵션을 제공한다"며 "나는 금지와 제한이 성공을 거두리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기술과 혁신을 통해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믿는다" 고 말했다.

아우디가 내연기관의 생산을 중단할 정확한 시기는 최종적으로는 소비자와 각 시장의 관련 법에 의해 결정될 예정이다. 중국 시장에는 2033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내연기관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현지에서 내연기관 모델을 생산 및 계속 공급할 예정이다.

아우디는 모든 전기 구동 모델 라인업을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아우디는 e-트론 GT, RS e-트론 GT, Q4 e-트론 및 Q4 스포트백 e-트론 등의 출시를 통해 올해 내연기관 모델보다도 더 많이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브랜드 라인업에 20개 이상의 e-모델을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마커스 대표는 "이번 로드맵을 통해 아우디는 결정적이고 강력한 전기 시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확하게 밝히고, 아우디는 준비되어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충전 인프라와 재생 가능 에너지원 확보를 위한 투자도 나서고 있다. 최근 아우디는 예약 시스템과 라운지를 갖춘 자체 프리미엄 충전 솔루션 '아우디 허브' 실험 프로젝트를 공개한 바 있으며, 재생 에너지원 확대를 위해 에너지 공급사와 제휴도 맺었다.

아우디는 또한 마지막 생산까지 내연기관 개발에도 전력을 기울여 기존 모델들을 더 개선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마커스 듀스만은 "아우디의 마지막 내연기관은 우리가 만든 것 중 최고가 될 것이다" 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결혼 소개비로 가방받고 싶었다는 친구…화납니다"여자화장실 용변 보는 모습 111회 불법 촬영한 대학생'무기한 출전정지' 라더니…'학폭' 이재영·이다영 복귀 간보기"안타까워 거둬준 20대 의붓아들, 10살 친딸 수개월 성폭행"'30억 주식부자' 전원주 "종목 추천자 관상 본다…10년도 기다려"
이강준 기자 Gjlee101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