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닝 인사이트] "불확실성 여전..금·비트코인 흐름 주시해야"

SBSBiz 2021. 6. 24. 08:3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와이드 모닝벨 '모닝 인사이트' - 고유미 외신캐스터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들의 전략을 직접 들어보는 모닝 인사이트입니다.

밤사이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또 경신했습니다.

월가의 베테랑 투자자 아트 캐신 UBS 객장 담당 이사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디스인플레이션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 금과 비트코인 가격의 흐름을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트 캐신 / UBS 객장 담당 이사 : 역사적으로 7월은 최고의 강세장입니다. 가장 많은 수익을 얻는 것은 아니지만 강세장일 것이라는 믿음이 가장 큰 달이죠. 하지만 시장의 우려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닙니다. 코로나19 변이와 디스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금과 비트코인의 흐름을 주시해야 합니다. 금과 비트코인이 오르기 시작하면 다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금값은 어떻게 움직일까요?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금 가격은 온스당 1천783달러 40센트에 거래를 마쳤는데요.

일주일만에 최고치입니다.

러시아 최대 금 생산업체 폴리우스의 CEO는 최근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발표에 따라 금 가격도 약간의 움직임을 보였지만, 당장 금값에 위협이 될 만한 것이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파벨 그라체브 / 폴리우스 CEO : 최근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발표에 따른 약간의 '무릎반사' 반응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몇 년 동안 금값 상승의 원인이 된 펀더멘털에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예상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이상 금값에 위협이 될만한 요인은 없을 것입니다.]

한편 인플레이션 상승이 일시적일 것이라는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발언에 10년물 국채금리는 안정됐는데요.

노스만 트레이더의 창립자는 금리가 오르면 페이스북과 애플, 아마존, 그리고 넷플릭스와 구글 등, 이른바 FAANG주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10년물 국채금리의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스벤 헨리치 / 노스만 트레이더 창립자 : 금리가 오르면 FAANG주가 타격을 입을 것입니다. 지난주에 확인할 수 있었죠. 10년물 국채금리가 떨어지는 즉시 기술주로의 전환이 이뤄졌습니다. 이는 국채금리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10년물 국채금리를 주시해야 합니다. 그동안 하락세를 보였지만 전망이 밝았습니다. 1.41% 이상을 유지하면 더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기술주에 타격을 입힐 것입니다.]

지금까지 모닝 인사이트였습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