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박이'와 '배기'/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2021. 6. 24.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에야 한겨울에도 오이가 나오지만 맛으론 여름 오이를 따라올 수 없다.

살짝 맛이 든 오이소박이까지 있으면 더할 나위 없는 한 끼 밥상이 된다.

오이소박이는 4등분해 십자로 칼집을 낸 오이에 부추와 마늘, 고춧가루 등을 섞은 소를 넣어 담근 김치다.

한데 이를 '오이소배기'라고 표현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즘에야 한겨울에도 오이가 나오지만 맛으론 여름 오이를 따라올 수 없다. 입맛 없는 여름철 시원한 오이 하나만 있으면 다른 반찬이 필요 없다. 새콤한 냉국도 좋고 쌈장에 그냥 찍어 먹어도 괜찮다. 살짝 맛이 든 오이소박이까지 있으면 더할 나위 없는 한 끼 밥상이 된다.

오이소박이는 4등분해 십자로 칼집을 낸 오이에 부추와 마늘, 고춧가루 등을 섞은 소를 넣어 담근 김치다. 한데 이를 ‘오이소배기’라고 표현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발음이 비슷해서인지 ‘박이’와 ‘배기’의 표기를 두고 헷갈릴 때가 많은데 의미가 다른 만큼 반드시 구분해 써야 한다.

‘박이’는 무엇이 박혀 있는 사람이나 짐승 또는 물건이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소의 양지머리뼈 한복판에 붙어 있는 기름진 고기는 ‘차돌박이’다, 얼굴이나 몸에 큰 점이 있는 사람이나 짐승은 ‘점박이’, 양쪽 눈 위에 흰 점이 있어 언뜻 보기에 눈이 넷으로 보이는 개는 ‘네눈박이’, 장승감으로 박아서 세워 두는 물건은 ‘장승박이’라 한다. 이처럼 ‘박다’의 의미가 살아 있는 경우에 ‘박이’를 붙인다.

‘배기’는 ‘그 나이를 먹은 아이’(한 살배기, 두 살배기)나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런 물건’(공짜배기, 대짜배기, 진짜배기)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또 그것이 들어 있거나 차 있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도 사용된다. ‘나이배기’(겉보기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 ‘알배기’(알이 들어 배가 부른 생선) 등의 예에서 볼 수 있다.

oms30@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