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률 60% 넘어도 확진자 계속..중국산 백신에 대한 의구심 커져

이동헌 2021. 6. 23. 23: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률이 60%가 넘는 칠레가 오는 9월쯤 3번째 백신 접종 이른바 '부스터샷'을 맞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높은 백신 접종률에도 신규 확진자가 좀처럼 줄지 않기 때문인데, 초기에 집중 접종한 중국 '시노백 백신'의 예방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오면서 중국산 백신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동헌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남미에서 가장 높은 백신 접종률을 보이고 있는 칠레가 12살에서 17살 사이 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했습니다.

청소년에겐 화이자 백신이 접종됩니다.

접종 현장을 격려 방문한 세바스티안 피녜라 칠레 대통령은 백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세바스티안 피녜라 / 칠레 대통령 : 백신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팬데믹에서 우리를 보호합니다. 오늘 백신 접종자가 1,2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천9백만 명의 칠레 국민 중 63.2%가 1회 이상 백신을 맞았습니다.

접종을 모두 마친 비율도 50%를 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도 하루 5천 명 안팎의 확진자가 계속 나오는 데 칠레의 고민이 있습니다.

비슷한 접종률을 보이고 있는 이스라엘과 영국의 경우 신규 확진자가 크게 줄어든 것과 달리 좀처럼 감소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과 성급한 봉쇄 해제 등이 이유로 꼽히지만, 칠레가 주로 사용한 중국 시노백 백신의 예방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시노백 백신의 유증상 예방 효과가 51%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때문에 칠레 보건차관은 지난 3월 이전 시노백 백신 2차 접종을 마친 사람들은 9월에 세 번째 접종, 이른바 '부스터샷'을 맞을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칠레는 지금까지 시노백 백신은 천680만 회분, 화이자 백신은 390만 회분을 투여했습니다.

칠레 외에도 몽골과 바레인, 세이셸 등 중국산 백신에 크게 의존했던 나라들의 경우도 높은 접종률에 비해 확진자가 늘고 있어 중국산 백신의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YTN 이동헌[dhle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