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사퇴 청원에 즉답 피한 靑 "가상자산 피해예방 지속 추진..불법엔 전방위 대응"

임재섭 2021. 6. 23. 18: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와대는 23일 "정부는 가상자산 거래와 관련한 불법행위에 전방위적 대응을 할 것"이라며 "또 지속적으로 피해예방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날 가상자산 관련 발언으로 논란이 된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동시에 정부에 가상자산 자산과 관련한 정책 마련을 요구하는 내용의 국민청원에 대해 "정부는 지난 5월 28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상자산 거래 관리방안을 발표했다"며 "범부처 특별단속 기간도 9월까지로 연장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실 디지털소통센터가 23일 공개한 청와대 청원 답변. 청와대 제공.

청와대는 23일 "정부는 가상자산 거래와 관련한 불법행위에 전방위적 대응을 할 것"이라며 "또 지속적으로 피해예방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날 가상자산 관련 발언으로 논란이 된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동시에 정부에 가상자산 자산과 관련한 정책 마련을 요구하는 내용의 국민청원에 대해 "정부는 지난 5월 28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상자산 거래 관리방안을 발표했다"며 "범부처 특별단속 기간도 9월까지로 연장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가상자산 사업자들은 9월 24일까지 요건을 갖춰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신고하도록 했다"며 "신고기간 이후에는 사업자의 관리 감독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또 "자신을 평범한 30대 직장인이라고 밝힌 청원인을 보면서 청원에 담긴 청년의 목소리가 무겁게 다가온다. 청년과 눈높이를 맞추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는 "잘못된 길을 가고 있으면 어른들이 가르쳐줘야 한다고 하지 않았느냐. 지금의 잘못된 길을 누가 만들었는지 가만히 생각해 보시길 바란다"며 은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청원인은 청원 글에서 "4050 인생 선배들은 부동산이 상승하는 시대적 흐름을 타서 노동 소득을 투자해 쉽게 자산을 축적해왔다. 그들은 쉽사리 돈을 불렸지만 이제는 투기라며 2030에게는 기회조차 오지 못하게 각종 규제들을 쏟아냈다"며 "어른들은 부동산 투기로 자산을 불려놓고는 가상화폐는 투기니 그만둬야 한다니, 역시 어른답게 배울 게 많다"고 말했다.

이 청원인은 "4050 인생 선배들. 회사에서 본인들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아랫사람들의 공은 가로채고 새로운 방식은 가로막으며 이렇게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정작 본인들은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시절 쉽사리 취업해서 큰 자기개발이 없이도 현재 자리에 앉아 있으면서, 무한 경쟁을 통해 어렵사리 취업한 지금의 젊은 세대들에게 노력이 부족하다고 한다"며 "도대체 무슨 노력을 그렇게 하셨느냐. 부장 자리에 앉을 때까지 영작문 하나 제대로 못 해 아래에 시키고, PPT, 엑셀 하나 제대로 못 해 아랫사람에게 떠넘기면서 토익 900에 여러 가지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을 갖추지 못하면 취업도 못하는 젊은 사람들에게 노력이라는 얘기를 하다니"라고 말했다.

이 청원인은 "금융위원장님께 묻는다. 깡패도 자리를 보존해 준다는 명목 하에 자릿세를 뜯어가는데, 투자자는 보호해 줄 근거가 없다며 보호에는 발을 빼고, 돈은 벌었으니 세금을 내라는 말이냐"며 "이미 선진국들은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각종 노력을 하고 있는데, 아직도 제조업 중심의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바라 보시냐. 앞으로 국내 IT와 금융의 앞날이 어둡다"고 말했다.임재섭기자 yj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